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에너지를 가진 중성미자 우주선까지 관측했다. 이 관측 결과에 따라 중성미자의 속도를 계산한 결과 빛보다 10억분의 1만큼 빠를 수 없었다.이번 실험의 중성미자는 1987년 초신성 폭발 때 관측한 중성미자에 비해 너무 빨랐다. 초신성 1987A의 폭발을 관측한 결과 중성미자가 빛보다 3시간 일찍 ...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호모 하빌리스 유골을 구해 각각 어금니의 크기를 측정했다. 그 뒤 어금니 사이의 비율을 계산해 Bpg2001.04와 비교했다. 만약 에렉투스가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해당 지역에 이동했다면 시대에 따라 비율도 변하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실제로 측정 결과 어금니의 크기가 지역에 따라 ...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모순이 없다. 괴델은 시간여행에 필요한 정확한 우주선의 속도와 연료, 거리와 시간까지 계산했다.2011년에 불가능한 이유아쉽게도 우리는 괴델의 회전하는 우주에 살고 있지 않다. 관측에 따르면 은하는 서로 멀어지고 있으며, 이는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리고 만약 우주가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앞의 12자리의 각수에 차례로 2, 3, 4, 5, 6, 7, 8, 9, 2, 3, 4, 5를 곱해 합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한 합을 11로 나눠 나머지를 구한다. 그런 다음 11에서 이 나머지를 빼면 그 수가 바로 마지막 13번째 체크숫자가 된다. 이 값이 10일 때는 0, 11일 때는 1이 체크숫자다.예를 들어 123456- ...
- 학교 수학시험이 사교육을 부른다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여러 가지로 문제가 많다. 초등학교 수학은 산술적인 사고력, 중학교는 대수적인 계산력이 중심이다. 인생에 도움이 되는 수학적인 사고는 초등학교에서 주로 배운다. 그런데 초등학교 4, 5학년부터 수학적인 사고를 하지 않고 중학교 내용을 선행한다면 아이들은 사고력을 더 키우기가 어렵게 된다. ...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과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빛이 1초 동안 지구 지름의 16⅔배 거리를 진행한다는 계산을 처음 내놓았다. 그 뒤로 빛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실험물리학자들의 노력이 계속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앨버트 마이컬슨의 실험이다. 마이컬슨은 빛의 속도를 처음으로 정교하게 측정해 ... ...
- 5악장 - 피날레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바로크 악기로 연주한 고음악 수요가 느는 것처럼요.더구나 수학자들이 새로운 음률을 계산한 결과도 최근 몇 년 사이에 속속 발표되고 있어요. 다양한 개성을 지닌 새로운 음악이 탄생할 가능성도 커진 셈입니다. 새로운 음악을 담을 새로운 악기의 탄생을 기대해 봐도 좋지 않을까요. 혹은, ...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크기로 환산하면 대략 10-47GeV4이다. 한편 양자역학과 같은 이론으로 진공에너지를 계산하면 그 크기는 1074GeV4다. 관측과 이론 사이의 간극이 무려 약 10120배나 차이가 난다. 진공에너지가 커지면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작아진다. 1940년대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이론적인 ...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예측 프로그램 ‘로제타앳홈’을 만들었다. 각 가정에 있는 컴퓨터의 자원을 기부 받아 계산에 이용하는 기술이다.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거나 새로운 기능이 있는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쓴다.베커 교수는 더 나아가 사람의 두뇌까지 이용하기로 했다. 사람은 컴퓨터와 달리 3차원 패턴을 ...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이번에는 과학자가 예언하는 낯설고 충격적인 미래에 대한 책이다. 데이터 저장 기술과 계산 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의식의 기계화를 다룬 한스 모라벡의 ‘마음의 아이들’과, 나노 수준의 분자 구조물을 이용해 스스로 복제하는 기계가 탄생하는 미래를 그린 에릭 드렉슬러의 ‘창조의 엔진’이다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