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겨우살이는 항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향후 자생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씨드
볼
트는 내년 초까지 종자 저장 및 연구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개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장정원 연구원은 “2023년까지 약 30만 점의 종자를 모아 보관할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약효가 들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통스럽다. 김 교수의 마취기기는 조금 큰
볼
펜처럼 생겼고 무게가 작은 생수 한 통 정도(500g)로 가볍다. 눈에 대기만 하면 돼 환자의 거부감이 적고 순간적으로 마취가 돼 고통도 없다. 김 교수는 “경쟁력은 확실하다”고 자신했다.UNIST는 지난 9월 영남권의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역할을 하지요.곧게 뻗어나가는 레이저를 자세히 보면 일정한 모양으로 진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이 진동 부분 부분의 모양을 바꿔 주면 1과 0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를 만들 수 있지요. 레이저가 우주를 건너 지구에 도착하면 지구에선 진동의 모양을 분석해 신호를 읽을 수 있는 거랍니다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어지기 직전에 기관지(노란색)에서 세기관지(파란색, 빨간색)가 뻗어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황정은 박사가 기관지 네 개의 패턴을 관찰한 결과, 기관지가 예상보다 훨씬 더 프랙탈 법칙을 잘 따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불규칙한 리듬에서 나타나는 프랙탈전문가들은 심장박동과 뇌파,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여성의 비율은 11%에 불과하다.연구자들은 고정관념이 큰 방해물이라고 지적한다. 18세기
볼
테르는 독일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에밀리는 위대한 사람이지만 그의 유일한 단점은 여성이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인식은 현재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미국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눈(120°)과 유사하고 별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고도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동시에 잘
볼
수 있는 렌즈”라고 설명했다. 트로펜하건 매니저는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더 생생하고 더 진짜같은 경험을 원한다"며 "이 지점에서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한글 자음뿐 아니라 건축물이나 전통적인 장신구 등 우리 주변 어느 곳에서나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대칭이 있는 도형은 안정적인 느낌이 들 뿐 아니라 균형이 잡혀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횟수와 크기, 위치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문양을 만들 수 있는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nier.go.kr/ncis)을 이용해 공산품이나 살생물제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누구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했답니다.이번 일은 부실한 안전관리와 기업의 잘못된 욕심이 낳은 가슴 아픈 비극이에요. 두 번 다시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꼭 필요한 화학물질에 대한 더 깊은 관심과 고민이 필요한 때가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새로운 조형 감각을 기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학적 구조물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또한 대나무는 저렴할 뿐만 아니라 단단하고 줄기가 잘 휘어져 구조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이러한 다면체 구성 작업은 막연하게 느꼈던 공간과 입체에 대한 새로운 경험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대나무로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정현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이 지하 16km까지
볼
수 있는 전기비저항 측정 장비를 개발해 탐사 준비에 앞장서고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한국과 북한, 중국의 공동연구가 가능해지면 북한에서 중국까지 긴 측선을 이어서 그 하부를 동서방향으로 측정할 수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