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교실할 장비까지 갖추게 될 것이다.한편 소련 역시 미국의 일정에 맞추어 1994년 궤도
위성
'마르즈 94'를 발사할 예정. 마르즈 94는 1백년 동안 활동하며 화성의 기후와 구성물질을 조사할 6t의 궤도선이다.이어 소련은 지구의 명령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율적으로 '무궤도 탐사선'(rover)을 1998년 발사할 ... ...
대학입시 과학문제 철저분석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구심력의 크기 구하기)는 단순한 공식 암기를 측정하는 문제다. 3번 문제도 인공
위성
같은 실제의 자연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 그렇다고 문제가 어려워지는 것이 결코 아니다. 출제위원들은 문제를 쉽게하기 위해 출제했다고 강변할지 모르나 공식을 묻는 문제는 암기력 측정외에는 아무런 의미를 ... ...
일본열도에
위성
방송열풍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재편성해 시청률을 높였다.무료로
위성
방송을 수신하려는 얌체족들을 방지하기 위해
위성
방송에서는 영상신호의 주사선에 혼란을 일으키게 한다. 유료 시청자의 경우 이것을 해제하는 디코더를 이용해 맑은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해서 지금도 8.2~12.4GHz 사이를 X-밴드(band)라 부른다. 현재의 TV
위성
중계 등 대부분의 인공
위성
을 이용한 통신이 모두 이 주파수대에서 행해진다.3백GHz에서 ${10}^{23}$Hz 정도까지는 서브 밀리미터파, 적외선, 가시광선(빛), 자외선을 거쳐 X선, 감마선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약 1PHz(${10}^{1 ...
국내 HDTV 어떻게 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첫 걸음도 시작하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 더욱이 HDTV가 상용화 되었을 때 방송은
위성
시대가 열리므로 일본의 TV프로그램이 아무런 제한없이 우리의 안방으로 들어오게 된다.패널토의자로 참가한 외국어대 박성래교수는 "무분별한 문화침투를 감안, 일본과는 다른 방식으로 개발할 것"을 ... ...
항공·우주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환경실태조사와 우주과학연구에 획기적 기여가 예상된다.
위성
체를 실을 중형과학로켓 연구는 2단계(93~95년)와 3단계(96~98년) 기간 중에 자체 설계로 개발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항공산업을 수출 전략 업종으로국내에는 항공3사(대한항공 대우중공업 삼성항공)를 중심으로 2 ... ...
무공해 대체 에너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는 이미 전자계산기 손목시계 인공
위성
의 전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현재 발전가격은 1KWh를 생산하는 데 30센트까지 내려와 있다. 앞으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기술과 반도체 기술이 발전해 광전(光電)변환효율의 개선 등이 이루어진다면 ... ...
연구실에서 기술정보를 찾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멀리 원양에 나가 있는 어선이 고장을 일으켰을 때 인공
위성
을 경유한 무선전화망을 통해 이 도서관전산망에 접속하여 유사고장에 대한 문헌을 검색해내고 그 원문의 제공을 요구하면 정보 소장기관은 팩시밀리를 통해 원문을 전송해 줄 수 있다. 특별한 부속의 별도 ... ...
태양계 탐사 본격적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천왕성의 고리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극지방을 세로로 감싸면서 돌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위성
근처에서 일어나는 운동이 고리의 구성과 움직임을 조종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12년 동안 11만5천여 영상들을 보내온 보이저계획은 대단원의 막을 내렷다. 보이저2호가 태양계를 벗어난 이후에도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시뮬레이션 역사는 더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8세기 기어를 이용해서 태양계의 별과
위성
들을 서로 움직이게 하는 기계몽형이 만들어졋다. B.C. 1게기 경 그리스해역에 침몰했던 배에서 나온 금속 덩어리는 고대인들도 태양계의 모형을 만들어 이용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보조기구에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