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반도체"(으)로 총 2,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를 바꾸는 '꿈의 신소재' 그래핀동아사이언스 l2013.10.09
- 탄소 원자들이 벌집모양 구조로 한 층을 이루고 있는 2차원 물질이다. 전자 이동속도는 반도체의 재료인 실리콘보다 20배 이상 빠르고, 열전도율도 구리보다 20배 높다. 이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그래핀을 ‘제2의 실리콘’이라 부르며, 기존 전자소자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물질로 보고 ... ...
- 새로운 컴퓨터 세계를 여는 DNA동아사이언스 l2013.10.04
- 많다”며 “2년간 연구 끝에 개발한 DNA 기반 트랜지스터 제조가 적은 비용으로도 고효율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DNA를 이용해 트랜지스터를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한 쌍의 DNA 띠 주위에(사진 왼쪽 부분) 구리 이온(DNA 띠 ... ...
- 지구를 넘어 화성에서 살 날 곧 다가온다동아사이언스 l2013.09.29
- 신소재다. 관 내부의 지름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리콘 반도체의 집적도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세계 최초의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로 장식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 ...
- 전력손실 줄였더니 전동차가 가벼워졌네!동아사이언스 l2013.09.25
- 지하철 10량을 기준으로 3개 정도가 붙는다. 기존의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전력변환 반도체 장치와 60Hz 고중량 변압기를 사용해 전기 주파수를 높였다. 문제는 이렇게 하면 전력 변환 손실이 크고, 열이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리액터, 냉각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함께 탑재돼 무거워 진다는 것. ... ...
- “국내 유일 카메라 광학기술 연구… 국가대표 자세로 일해요”동아일보 l2013.09.24
- 박 수석연구원은 1988년 입사해 25년 동안 카메라 렌즈 관련 업무를 해왔다. 그는 “반도체 기기 설비부터 자기공명영상(MRI)기기, 복사기에 이르기까지 카메라 광학기술이 필요한 곳이 굉장히 많다”며 “국내에 이런 기술을 가진 기업이 하나쯤 있어야 하는데 나 자신이 그 일을 하고 있다는 게 ... ...
- 온도 낮추면 전기 안통한다고? 아니올시다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한양대 물리학과 조준형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금속에는 전기가 통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두께가 매우 얇은 금속 표면온도를 영하 240도까지 낮추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이처럼 낮은 온도에서 금속에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절연체가 되는 것을 '금속-절연체 상전이 현상'이라고 한다. ...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동아사이언스 l2013.09.12
- 메모리반도체와 같은 미세가공기술로 고부가가치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더이상 어렵다. 반도체도 로열티가 많은 시스템온칩(SoC) 설계 원천 기술로 눈을 돌려야 한다. 캡슐 내시경 사례는 바로 전세계 시장을 먼저 선점할 수 있는, 이른바 ‘퀀텀점프’를 할 수 있는 나노 기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 ...
- 인체 영향없이 자세히 질병진단 가능한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3.09.09
- 집속, 증폭 등의 특성을 제어 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한 것”이라며 “강한 빛으로 반도체 표면에 회로를 그리는 ‘리소그래피’ 등의 첨단 산업기술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일자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 ...
- 국내 유일 3D프린터 제조업체 ‘캐리마’ 이병극 사장동아일보 l2013.09.04
- 여러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패션, 기계, 건설 등 전통 제조업은 물론이고 생명공학, 반도체, 우주기술 등 첨단 산업도 ‘3D 프린터 혁명’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 사장은 국내 3D 프린터 산업의 개척자로 꼽힌다. 100억 원에 가까운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가시광선(빛)을 활용한 적층 방식 3D 프린터 ...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했다동아사이언스 l2013.09.03
- 개발한 것”이라며 “디스플레이분야 뿐만 아니라 유기논리회로, 유기태양전지 등 유기반도체가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온라인 8월 21일자에 실렸다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