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지근한' 온도는 뇌 어느 부분이 감지할까?...초정밀 자기장 측정기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2
에서 전기적 활동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일차 체성감각 영역은 대뇌피질의 중앙
열
뒤쪽에 있는 영역으로 촉각, 통각 등 체감에 대한 인지를 담당하는 부위 중 하나다. 기존에는 일차 체성감각 영역이 통증을 느낄 정도의 온도 자극에만 반응한다고 알려졌다. 미지근하거나 시원한 정도인 ... ...
컬링 선수의 빗자루질 뒤에 물리학이 있다
2018.02.12
거리도 늘어납니다. 스톤을 밀어낸 선수는 스위퍼들에게 ‘서둘러(hurry)’, 또는 ‘
열
심히(hard)’를 외칩니다. 돌을 더 멀리, 원하는 방향으로 가도록 도와주라는 지시죠. 스위핑을 통해 스톤이 최대 4~5m를 더 가게 할 수 있습니다. 요컨대 컬링은 경기상황에 따라 얼음 표면에 미끄러지는 스톤의 ... ...
[짬짜면 과학 교실] 어떤 동물일까요?
2018.02.10
지느러미가 있나요? 아니요 (바다표범이나 바다사자 등을 생각하는군요) (
열
한 번째 고개를 넘어 보아요) 물 밖에서 뛰어 다닐 수 있나요? 예 (이제 알아맞히기 직전입니다) 뛰어 다닐 수 있다면 다리가 있겠고 털이 있고 물에서 생활하는 동물 중에서 민물에서 산다면 ... ...
쇠보다 강한 목재? 고강도 압착 목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셀룰로오스를 감싸는 성분인 헤미셀룰로오스를 일부 제거한다. 그 뒤 섭씨 약 100도의
열
을 가한 채 나무를 강하게 압착한다. 실제 목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압착된 목재는 나무 조직이 무너지며 채관이나 물관 등의 ‘속이 빈’ 구조가 사라지고 조직이 치밀해졌다. 밀도는 세 배 높아졌다. 물에 ... ...
영화 다운사이징처럼 내 키가 12.7cm라면?
과학동아
l
2018.02.09
정도를 의미하는 엔트로피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
열
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한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는 질서를 유지하며 낮은 엔트로피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밥을 먹고, 공부를 하고, 잠을 ... ...
[카드뉴스] 겨울만 되면 나는 볼빨간사춘기
2018.02.09
결국 평소보다 얼굴이 붉어지는 것이죠. 오들오들… 추운 날도 빨개지죠.
열
을 덜 빼앗기기 위해 근육과 피부가 수축하면서 혈관도 수축합니다. 이 때 갑자기 따뜻한 공간으로 들어가면 혈류량 증가로 얼굴이 붉게 보이는 거죠. 술을 마신 뒤 얼굴이 빨개지기도 해요. 이는 몸 안에 알코올을 ... ...
추운 바다 밑 가오리, 해저
열
수구 이용해 알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8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바실라자 스피노시스시마가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해저
열
수구를 활용해 알주머니를 빨리 성숙시키기 위해 이곳에 알주머니를 둔 것이라고 분석했다. 살리나스데레온 박사는 “심해 눈가오리는 다른 해양생물에 비해 수명이 길고 발달 속도가 느려 멸종위기 종에 ... ...
파리지옥풀의 위험한 사랑을 도와주는 곤충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하지만 이 결론은 답이 되지 못합니다. 자가 증식을 한다면 유전적 다양성이 사라지고,
열
성 인자들이 발현하면서 멸종하게 될테니까요. 파리지옥풀 - Mokkie(W) 제공 6일 아메리칸 네츄럴리스트라는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새로운 해답을 제시했습니다. 엘사 영스테드 노스캘롤라이나대 연구원이 ... ...
추우면 살 빠진다?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6
기온에서 진행된 실험이다. 그렇다면 기온이 낮을수록 갈색지방 및 베이지색지방 세포가
열
을 내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실제 저온 치료로 지방분해 효과를 누린다는 ‘냉동지방분해술’이나 ‘냉동 요법’ 등이 일부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추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영생을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왜 이 동물의 수명이 생쥐의
열
배인 ‘30년 이상’으로 알려진 걸까. 논문에 따르면 답은 간단하다. 벌거숭이두더지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게 1980년이고 따라서 초창기 연구하던 개체들이 아직 살아있기 때문에 수명을 ‘30년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