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뉴스
"
이상
"(으)로 총 18,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이에 따라 항체 합성을 전보다 잘 할 수 있게 된 것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준 것이다.
이상
은 우리가 알고 있는 현상을 통해 유추해석을 한 것일뿐 실제로 면역력이 강해졌는지 아닌지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항체 합성 외에도 단백질은 면역반응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에 관여를 하고 있으니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당시 인간이 가진 단백질 중 약 2억 개의 구조를 파악했으며 2021년에는 36만5000개
이상
단백질의 3D 구조를 예측해냈다. 알파미스센스는 프로그램의 정밀도를 90%로 설정했을 때 분석 대상 유전자 변이 중 57%는 무해하고 32%는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나머지는 영향을 확실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20년간 산불이 대기오염에 미친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9.23
수준의 대기오염’에 노출된 수준을 분석했다. 그 결과 평균 약 21억8000만명이 1년에 하루
이상
화재로 인한 상당한 수준의 대기오염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7% 증가한 수치로 나타났다 ... ...
실명 유발 안질환 진단법 혁신·단백질구조 분석 과학자들, 래스커상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알파폴드'는 인간이 가진 단백질 중 약 2억 개의 구조를 파악했으며 2021년에는 36만5000개
이상
단백질의 3D 구조를 예측해냈다. 알파폴드는 단백질의 서열이 어떻게 세포 속에서 일정한 구조로 접히는지를 확인하는 '3차원 단백질 접힘 문제'를 풀어낸 바 있다. 래스커-코쉴란드 특별 공로상은 ... ...
비발디 ‘사계’ 2050년 버전...AI가 재창작하니 ‘어둡고 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여름’은 원곡보다 길이를 늘여 훨씬 느린 호흡으로 진행된다. 동시에 극심해진
이상
기후로 변덕스러워지는 날씨를 강조하기 위해 몰아치는 폭풍우를 그려낸 악장을 훨씬 강렬하게 표현했다. ‘가을’에는 텍스트를 음악으로 바꿔주는 메타의 인공지능 모델 ‘뮤직젠’의 해석을 적용했다. ... ...
"작년 의료 방사선 종사자 피폭량, 한도 기준의 1/100 이하"
연합뉴스
l
2023.09.21
천165명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4.7%씩 증가했다.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가 전체의 72%
이상
이다. 방사선 종사자들의 지난해 연간 평균 방사선 피폭선량은 0.38mSv(밀리시버트)로 전년도와 동일했다. 최근 5년간을 보면 2018년 0.45mSv에서 감소 추세다.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 ...
"국제협력 확대? 한국은 현재 '자생적 기술성장'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증가했다. 해외협력 논문에서 국내연구자들이 주저자로 참여한 비중도 2016년 이후 40%
이상
을 유지하고 있다. 공저자로 참여한 비율의 경우 2016년 30.99%에서 2020년 33.43%로 상승세를 보였다. 오 교수는 "2022년 이뤄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 국제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미국, ... ...
빛으로 작동하는 ‘다진법 메모리’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변화를 유도한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0과 1 상태만 존재하는 기존 메모리와 달리 0과 10
이상
의 상태를 나누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황화아연 쉘은 인접한 양자점끼리 전하 누설을 방지해 단일 양자점 하나하나가 메모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팀이 개발한 구조는 차세대 ... ...
1초에 중성자 100억개 만든다...비파괴검사하는 이동형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개발한 장치는 1초에 100억개의 고선량 중성자를 만들 수 있다. 기존 이동형 장치보다 10배
이상
의 중성자를 생성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장치다. 전세계에서 가장 성능이 좋은 장치는 미국 제품으로 규모가 커 이동과 설치가 어려운 게 단점이다. 반면 이번에 원자력연이 개발한 장치는 성능은 ... ...
구글 딥마인드, 질병 유발 유전변이 7100만개 평가..."32%가 유해"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당시 인간이 가진 단백질 중 약 2억 개의 구조를 파악했으며 2021년에는 36만5000개
이상
단백질의 3D 구조를 예측해냈다. 이번 연구에 등장한 알파미스센스는 알파폴드를 발전시켰다. 단백질의 화학적 구성을 바탕으로 향후 단백질의 3D 구조를 예측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인간과 가까운 영장류의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