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성과
열매
열매맺
결정
과실
d라이브러리
"
결실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01
전개하겠다"는 아이디어가 '책상위의 계획'에 그칠지, 아니면 어느 정도의
결실
을 맺을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소련을 위시한 동구권과의 과학기술교류 전망은 어떻습니까."소련은 기초과학과 우주 항공을 비롯한 첨단기술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축적하고 있고, 반면 우리는 응용연구와 제조기술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01
트기 시작한 남북의 과학기술교류. 어렵게 시작된 교류가 정치적 난기류속에서도 지속돼
결실
을 맺으려면 남북 양측 학자들의 구체성을 담은 교류 노력과 만남이 계속돼야할 것이다. 또 한번의 공명(功名)보다는 실제적인 신뢰를 쌓는 자세로 이들의 만남을 지원할 정부의 '숨은 뒷받침'도 절실하다 ... ...
PARTⅢ 재료
과학동아
l
199011
일어나기 쉬워, 대부분의 연구개발이 인성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돼 왔다. 그 노력의 중간
결실
로 최근에 실용화된 것이 내연기관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착하는 터보차저(turbocharger)의 로터(rotor)소재다 예컨대 일본에서 제조한 1990년형 닛산 스카이자동차에 두개의 터보 차저용 세라믹로터가 ... ...
PART IV 알라에서 트리할로메탄 까지
과학동아
l
199009
일부의 동물에서만 발암성이 인정되고 있다. 사과를 비롯한 과일의 성숙을 조절해
결실
률을 높일 목적으로 사용되는 알라(alar)라는 농약이 발암물질로 알려져,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어린이들에게 암유발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알라는 다미노자이드란 화학물질인데, 실험동물 중 랫에서 발암성이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09
넓어진 구역)에 있음이 알려지게 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샤플리(H. Shapley)의 노력의
결실
이었다. 이 발견은 16세기 코페르니쿠스(N. Copernicus)의 태양중심설에 버금가는 큰 '사건'이었다. 왜니하면 태양의 위치를 우리 은하의 중심이 아니라 변두리로 내몰아 버렸기 때문이다.1930년대 초엽 미국 벨(Bell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08
미·일중심의 전통적 과학기술협력단계에서 소련 중국 유럽 개도국의 비중이 높아지는 다변화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과학계에 국제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 ...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지요. 해외과학기술교류는 결국 우리의 역량과 자세에 따라 그
결실
이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 ...
세계 한민족 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
과학동아
l
199007
미국 유럽 일본은 물론 중국 소련의 교포학자들도 대거 참여해 과학 기술 교류의 초석을 다졌다. 한민족(韓民族) 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가 6월25일부터 7월7일까지 국내에서 ... 개최하는 민족은 우리밖에 없다. 기왕에 좋은 자리를 마련한 만큼 그에 걸맞는
결실
이 있어야 할 것이다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07
진흥정책은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러시아어로 '위성'이란 뜻)의 발사로
결실
을 보았다. 그 이후 소련은 '과학기술 대국'이란 칭호를 얻게되고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세계 제일이라는 자부심과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1989년말 현재 소련에는 5천개 이상의 전문연구기관과 1백52만명을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07
되풀이 한다.그런데 같은 종의 식물이라도 생육환경에 따라 발아의 시기, 개화 및
결실
의 시기가 다르다. 이런한 사실은 식물체내에 생활사(生活史)를 조절하는 과정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다.노쇠까지도 책임져이렇게 식물의 생장과 발달 및 노쇠에 이르는 생활사를 ... ...
체험하는 영화「아이맥스」
과학동아
l
199006
호응을 얻자 이에 고무받은 몇몇 관련자들이 아이맥스제작사를 건립했다. 이들의 작업의
결실
은 70년 오사카 박람회에서 첫 선을 보였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매일 3만명 이상의 관객들이 아이맥스 영화를 보기 위해 몰려온 것이다.아이맥스 영화는 필름 크기가 일반 35㎜ 영화의 10배, 초당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