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08
- 기준점(FOS)을 정한다. 심사국의 주장을 무조건 받아들이면 안 되기 때문에 관련 해역의 논문도 추가로 찾아서 읽어야 한다. 보통 한 나라의 대륙붕을 심사하는 데 2년 반 정도 걸린다.Q 대륙붕 한계를 정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소유할 수 있는 대륙붕이 EEZ에서 정한 200해리 밖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08
- 그때만 해도 기자는 꿈이 컸다. 속마음은 실험용 마우스까지 준비해서 유명 저널에 논문을 쓸 기세였지만, 눈치는 있어서 ‘소박하게’ 인간 세포로 실험을 해보고 싶다고 대답했다.“인간 세포요? (헛웃음) 인간 세포 배양에 필요한 최소한의 것들만 이야기해보죠. 먼저 온도를 30℃로 유지시켜 줄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08
-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벌써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며 “올해 말에 정식으로 논문을 내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학부생들이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최고의 과학자와 직접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도 UGRP의 장점이다. 국내 최고의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을 맡고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08
- 새로운 연구를 하고, 양질의 논문을 낸다고 인정받는다”며 “‘우리 선생님’께서도 논문 하나를 내더라도 정말 새로운 것을 하라고 하셨다”고 말했다.‘선생님’이 도대체 누구예요?민 교수를 인터뷰하면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우리 선생님’이었다. 그 선생님의 정체는 미국 칼텍 ... ...
- 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수학동아 l201608
- 색깔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사람들은 언제부터 파랑을 좋아하게 됐을까?논문 : ‘Color naming universals: the case of Berinmo’, ‘Confirmation of the relativity hypothesis’, ‘Language, thought, and color Whorf was half right’ ...
- PART 3. 선수들의 드라마에 주목하라!수학동아 l201608
- 스포츠의 진정한 백미는 무엇일까요? 바로 예측을 뛰어 넘는 드라마 같은 경기겠죠! 수학동아에서마지막으로 준비한 올림픽 관전 포인트는 바로 우리 선수들입니다. 새로운 드라마를 써내려갈 우리 선수들의 이야기를 들으러 가볼까요?여자 핸드볼 오영란 선수이번 올림픽에는 11살, 7살 두 아이의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08
-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를 석사 논문 주제로 삼았다.조 대표의 논문은 학생들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자발적 참여가 높다는 점을 교육에 적용해 보자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즉 학생들이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이는 클래스팅의 토대가 됐다 ... ...
- [과학뉴스] 지구가 뜨거워지면 구름이 높아진다과학동아 l201608
- 비교했을 때, 배출량이 증가할수록 구름의 고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구름이 기후변화를 가장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는 수단이 됐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08
- 헤엄치는 가오리를 본뜬 소프트로봇을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7월 8일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파커 교수는 딸과 함께 아쿠아리움에 갔다가 가오리가 헤엄치는 모습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가오리는 지느러미 근육을 수축했다가 펴면서 헤엄친다. 연구팀은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08
- 거쳐야 비로소 ‘용의자’들을 지목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매년 나오는 수많은 논문을 바탕으로 단백질 사이의 관계정보를 추출하는 작업이다. 이같이 추출된 관계 정보는 이후 두 단백질을 점(node)으로 표시한 뒤, 둘 사이에서 일어나는 결합,활성화, 억제, 인산화 등의 상호작용을 연결선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