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말
기포
거품
방울
물거품
수포
방울의 낙하
d라이브러리
"
물방울
"(으)로 총 36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10
있는 용량이 줄어든다. 어느 고도에 이르면 공기의 함유 용량을 초과한 수증기가 응결해
물방울
이 생긴다. 물을 잔뜩 머금은 걸레를 짜면 물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이것이 바로 구름이다.태풍 상륙 6시간 전인 8월 31일 오전 9시. 제트류와 북동풍에 의해 수렴된 습한 공기가 태백산맥을 만나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08
물체 뒤에 드리워진 검은 그늘이고, 비갠 후 볼 수 있는 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물방울
프리즘을 통과한 태양빛이다. 그러니 보름달과 그림자, 무지개는 모두 태양이 만든 작품이라 하겠다.우주에는 쌍성계 많아그러면 자동차와 비행기는 도대체 태양과 무슨 인연이 있을까? 얼핏 보면 전혀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08
없음을 알렸다.10시 24분 수심 3천5백m를 통과했다. 밖의 수온은 1.5℃. 조종실 벽에 맺힌
물방울
이 아래로 흘러내린다. 그래서 잠수정 밑바닥에는 물받이가 있고, 잠수가 끝날 때쯤 되면 물이 흥건히 고인다고 한다. 10시 40분 수심 4천m를 통과했다. 밖의 수온은 1.4℃. 마지막으로 모든 계기판을 ... ...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
과학동아
l
200407
소재 연구에서 큰 성과를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그는 “5˚미만의 경사에서
물방울
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통해 나노섬유의 방수효과는 이미 입증됐다”고 덧붙였다.이번에 찍은 사진들은 최근 케임브리지 공대 주최로 열린 학내 사진 경연대회에서 우승한 작품들이다. 이 이미지들은 영국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06
주변에서 몰려든 공기가 상승해 팽창하고 온도가 내려간다. 그리고 공기중의 수증기가
물방울
로 응결돼 구름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저기압이 되면 폭풍우나 비가 오는 것이다. 이처럼 기압을 측정해 공기의 흐름을 알아내고, 이를 이용해 날씨를 예상할 수 있다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끝에만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일어나
물방울
의 모양이 퍼지게 된다. 이 퍼지는 힘에 의해
물방울
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일렉트로웨팅을 이용해 미세유체를 제어하는 연구는 현재 미 듀크대,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대 등 일부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다 ... ...
사람눈 모방한 액체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404
기름보다 물과 더 친해지고 이번에는 기름이 가운데로 몰려 곡률이 뒤바뀐다(그림3).
물방울
이 수정체의 역할을, 전기장의 변화가 근육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연구팀의 공학자 코엔 주세는 “전기장 세기를 조절해 0.01초만에 초점거리를 바꿀 수 있다”며 “게다가 초소형이므로 내시경 등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03
일어나는 음식은 먹을 수 없다. 무중력 상태에서 거품이 계속 커지다가 터지면 작은
물방울
이 돼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올해 1월 14일 부시 대통령의 발표문에는 우주인의 장기체류에 대한 연구가 언급됐다. 우주에서 오랜 기간 체류하려면 식량문제 해결이 급선무다. 그러려면 우주에서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01
장영실은 일정한 시간마다 자동으로 종을 치는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었다. 물시계는
물방울
이 규칙적으로 떨어지는 원리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한다. 또한 세종 때는 가마솥처럼 오목한 해시계인 앙부일구를 길거리에 설치해 백성들이 시간을 알도록 했다. 조선 후기에는 손목시계처럼 작게 만든 ... ...
페트병 속에 가둔 구름
과학동아
l
200311
하늘로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므로 팽창해 온도가 내려간다. 수증기가 응결해 작은
물방울
이 돼 모인 것이 구름이다. 공기 중 작은 먼지나 연기가 응결핵 역할을 한다.뚝딱 실험2 인사하는 페트병■왜 그럴까?!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부피와 질량을 갖고 있다. 바닥을 잘라낸 페트병 안에도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