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전원
촌
향촌
벽지
지역
향리
d라이브러리
"
시골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01
계속되는 최상의 조건이다. 이때 달은 남쪽 하늘 궁수자리와 염소자리 사이에 있는데,
시골
에서는 개기식 중에 달의 서쪽에 있는 은하수와 북쪽 지평선에 걸린 3등급인 리니어 혜성의 뿌연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월식은 6개월 뒤인 2001년 1월 10일 새벽에 볼 수 있다. 3. 리니어 혜성(1999S4)이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01
한짝이 돼 매년 음력 정초에 마을을 지키는 하당신으로 모셔졌다. 예전에는 웬만한
시골
고갯길에는 대개 돌무더기 서낭당이 있었다. 이곳을 지날 때에는 왼발을 구르고 침을 뱉고 주머니에 있는 무엇인가의 물품을 약간 던져주었다. 주변의 돌을 주워서 던지는 일도 잊지 않았다. 지금은 많이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12
상태를 조사하는데 적당하다. 도시에 살고 있다면 3등성부터 보기가 어려울 것이고,
시골
은 가로등이 있더라도 4등성까지 쉽게 보일 것이다. 밝기가 1.3등급에서 0.4등급까지 변하는 베텔규스는 1920년 마이컬슨이 간섭계로 별의 지름을 측정해 반지름이 태양의 3배나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청백색의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10
이상의 별이 50개나 있지만, 가장 밝은 알파(α)별도 4등급에 지나지 않아 달빛이 없는
시골
에서 찾아야 겨우 보인다. 다행히 올 가을에는 목성 남쪽에 알파별이 있어 별자리를 그려보기가 조금 쉬울 것 같다.알파별에서 페가수스자리 사각형 바로 아래를 따라가 보면 오각형의 별무리를 찾을 수 있다.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09
근처에서 떴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뚜렷이 보기가 어렵고, 대구 이남의 남쪽이 탁 트인
시골
에서만 별자리 전체를 볼 수 있다.원래 두루미자리는 네덜란드의 항해가 피터 케이저와 프레드릭 호트만이 1595-97년 사이에 남반구 하늘에 만든 11개의 별자리 중 하나였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두루미가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199909
루이스는 4년 뒤 동생 나탈리를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루이스 브라운이 태어난 날
시골
도시인 올덤에는 수백명의 기자들이 모여들어 금세기 최고의 의학혁명을 축하해 주었다. 어떤 이는 브라운의 탄생을 2천년 전 예루살렘에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예수와 비교하기도 했다. 당초 수술비가 ... ...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
과학동아
l
199906
열기를 식히기엔 이제 밤은 너무 짧아져 있지만
시골
의 밤하늘에는 어느새 은하수가 성큼 떠올라 있다. 은하수 동쪽 가장자리에는 우리은하의 역사를 말해주는 오래된 별들의 집단인 구상성단들이 여기저기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이 숨어있는 별자리들을 찾아보자.헤르쿨레스자리Hercules● ... ...
도로의 심장 교차로
과학동아
l
199904
맞기 일쑤였다. 이러던 것이 아스팔트 포장도로로 바뀌면서 어느덧 비포장도로는
시골
길에 대한 향수로 남았다.1969년 경부고속도로가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되면서 대부분의 도로도 검은색의 아스팔트로 옷을 갈아 입었다. 그 당시에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사람들에게 경제 발전의 상징적의미로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03
별들이 모여 있는 은하의 가장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이다.여신이 흘린 젖하늘이 맑은
시골
이라면 달빛이 숨은 날에는 은하수의 여린 별빛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맨눈으로는 희뿌옇게 보여 언뜻 구름과 비슷하지만 자세히 보고 있으면 구름처럼 빨리 움직이지 않으므로 금새 은하수임을 알아챌 수 ... ...
하늘에서 가장 긴 별자리
과학동아
l
199903
가장 밝은 알파별이 4.5등성, 베타별과 감마(γ)별은 5.1등성으로 맑고 어두운
시골
의 밤하늘이 아니면 찾기가 어렵다. 육분의자리는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만든 7개의 별자리 가운데 하나로 본래 이름은 천문의 여신 ‘우라니아의 육분의’이다. 육분의는 원의 1/6, 즉 60도의 원호 모양을 한 천체의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