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색인
인덱스
목차
d라이브러리
"
찾아보기
"(으)로 총 28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부르는 별)와 비슷하다. 그러나 시리우스 B의 관측은 시리우스 A의 밝기로 인해
찾아보기
가 쉽지 않다. 두 별은 서로의 주위를 공전하는데 그 주기는 50년이다.이달의 집중탐구/외뿔소자리의 보물겨울철의 대 삼각형 안에는 희미한 은하수의 별들 속에 눈에 띄지 않는 작은 별들이 외뿔소란 이름의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01
서로 마음을 느끼며 별 하늘 아래 서서 우주의 신비와 별들의 낭만을 느껴보는 여유를
찾아보기
바란다.하얀 눈이 내린 하얀 겨울밤 하얀 마음으로 하얀 별들의 사랑 잔치에 참여해 보자.겨울 하늘엔 다른 계절에 비해 유난히 길잡이 별이 많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1등성의 반 가까이가 겨울에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11
인원을 차출했다는 경부고속전철 사업기획단의 인적구성만 봐도 전문 기술인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행정에 관련된 부서는 고사하고 기술에 관련된 차량국 전기국 건설국에 조차 전문기술인의 밀도가 약하다는 것을 관련자들은 공통적으로 지적한다. 이러한 추세로 본다면 내년 2월에 확대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10
보는데 커다란 지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 NGC7662를
찾아보기
바란다.2백만년 전의 빛안드로메다자리에는 다른 무엇보다도 우리 은하의 쌍둥이 형제인 나선은하 M31이 다른 것들을 압도한다. 베타별에서 뮤우(μ) 별을 지나는 선이 그곳으로 연결돼 있다. 보통의 맑은 ... ...
20만원 들이면 XT가 AT된다
과학동아
l
199108
진행된다는 얘기다.가령 80년대초 교육용 컴퓨터의 대명사로 불리던 8비트 PC는 요즘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불과 몇년전까지만 해도 가장 많이 팔리는 컴퓨터였지만 요즘은 이아들 조차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따라서 창고에 처박혀 있거나 골방에서 외면당하기 일쑤다. 이에 비해 비슷한 시기에 ... ...
동물학대와 국민의 비과학성
과학동아
l
199108
수난을 겪고 있는 것은 애꿎은 동물들이다.이제는 심산유곡에 가도 뱀이나 개구리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고 보면, 그 피해는 생태계 전반에 미치고 있다고 봐도 지나치지 않다. 최근 쓸개즙을 빼내기 위해 곰에게 끔찍한 가혹행위를 서슴지 않는 장면이 TV화면을 통해 방영돼 수많은 사람에게 큰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06
초중등 과학교육은 교육제도나 교육과정상으로 보면 한국과 비교했을 때 크게 다른 점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과학교육을 지원하는 체제 즉 학교시설이 우리보다 훌륭하고, 학급당 학생수가 30~40명으로 학습하기에 적당한 규모다. 또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실험 기자재를 문부성 기준령의 100%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05
동원된 연구개발인원, 투입된 연구개발비, 시장규모 등 어느모로 보아도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거대프로젝트다.TDX개발사업의 첫성과가 나온 것은 지난 86년 3월. TDX-1(1만회선 규모)이 경기도 가평 등 네개 농촌전화국에서 개통됐다. 그후 이보다 10배 규모인 TDX10(10만회선 규모)의 상용실험을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04
35번 별인 5등성의 동북쪽 1˚ 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M106은 사냥개I 은하군에서 가장
찾아보기
쉽다. 8.3등급의 광도와 18.2′~7.9′의 큰 크기로, 7배 망원경으로도 가늘고 긴 모습을 볼 수 있다.센타우르스 자리에도 많은 은하들이 모여 있는데 이 은하군에는 바다뱀자리와 M83과 NGC5128의 두 유명한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04
조그마한 고리모양의 전파를 관측하였다. 이와같은 발견은 두번째이며 우리가 하늘에서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이는 '중력렌즈'로 불린다.이러한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최초의 암시는 아인슈타인박사가 일반상대성이론을 고안해 냈던 지난 1916년에 있었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