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양"(으)로 총 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교과 지식이 핵심 열쇠과학동아 l200810
- 한양대 2008학년도 수시 2-2학기 큰그림 보러가기 한양대 2008학년도 정시 큰그림 보러가기 한양대 2009학년도 모의논술 큰그림 보러가기 수리 모델 이해형 우리 몸에 이물질이 침입한 뒤 시간 t가 경과했을 때의 항체 농도를 다음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1차 침입의 경우는 함수 f(t)로, 2차 .. ...
- 논술로 수시 2학기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809
- 올해는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숙명여대가 논술 100% 전형을 도입했다. 이화여대와 한양대가 80% 이상을 반영하며 건국대, 서강대, 중앙대가 60% 이상, 연세대가 50% 이상 논술을 반영하는 전형을 내놓았다. 대학마다 논술 유형이나 분량이 천차만별이므로 지원하려는 대학과 계열의 기출 문제, ... ...
- 10대들의 화학 축제 '화탐프'과학동아 l200805
- 얼마나 참신한 생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가를 본다. 은상을 받은 유용진 군(현 한양대 공대 1년)은 취미를 연구로 발전시킨 경우다.그는 프라모델 만드는 일이 취미다. 프라모델에 색을 입힐 때마다 벤젠이 들어있는 광택제를 쓰는데, 냄새가 너무 심해 취미생활을 즐기기는커녕 건강 걱정이 앞섰다. ...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과학동아 l200803
- 되살린 전시회“여보세요? 이두호 선생님이시죠?”“네, 맞습니다만….”“네, 저는 한양대학교의 신인철입니다. 선생님, 이렇게 전화 나누게 돼 영광입니다.”작년 2007년은 ‘생물학의 해’였다. 생물학의 해 행사의 일환으로 나는 ‘만화로 배우는 재미있는 생물학’ 이라는 부스 전시회의 기획을 ...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과학동아 l200801
- 수원 화성을 지은 곳은 ‘우로’ 위였다. 우로는 경제활동이 활발했던 18세기 당시 한양(서울)과 공주, 전주, 나주를 잇는 교통로였다. 그래서 1950년 한국전쟁이 벌어졌을 때 수원 화성은 치열한 격전지가 됐고, 수많은 포격으로 화성의 많은 부분이 파손됐다. 1975년부터 5년간 이를 복원했는데, 이때 ...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17
- 고려시대에는 서남해안의 좋은 흙으로 빚은 도자기를 서해의 뱃길을 통해 개성과 한양까지 운반했지. 주꾸미 덕분에 충남 태안에서 발견된 12세기 청자 운반선도 이 뱃길에서 찾았 단다. 서해안은 갯벌이 많아서 난파선이 잘 보존 된단다.전북 군산시 십이동파도 해저 발굴 (2003~2004)11세기 고려청자 ... ...
- 광견병 바이러스로 뇌 장벽 뚫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0713
- 약을 넣기 어렵게 만들죠. 이‘뇌 장벽’을 뚫고 뇌혈관에 약을 넣는 방법이 개발됐어요. 한양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이상경 교수는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에 약을 붙여 뇌세포에 직접 전달하는데 성공했어요. 뇌염에 걸렸던 쥐는 이 주사를 맞고 병이 나았죠. 연구에 쓰인 바이러스는 광견병 ...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2
- 오늘 점심은 맛있는 생선구이~! 가시만 남기고 예술적으로 먹었지. 점심을 먹고 나니 바로 잠이 쏟아지네. 의뢰인도 없겠다. 나 썰렁홈즈, 오늘은 그냥 낮잠이나 자야겠어. 살며시 꿈나라로 가려고 하는데 갑자기 이상한 목소리가 들려 왔어.“고마워~! 밥을 먹어 줘서~! 생선구이 맛있어!”처음엔 내 ...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과학동아 l200712
- 때나 떠올릴 때 항상 다섯 손가락을 까딱거린다. 만화책에 나온 내용이지만 근거는 있다.한양대 의대 신경과 김승현 교수는 “손가락은 뇌의 활동에 큰 영향을 끼친다”며 “손가락을 자주 사용하면 기억력 증진과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뇌는 손가락을 담당하는 영역이 넓기 때문에 ...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과학동아 l200711
-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을 줄이야….”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는 한양대 의대 김계성 교수 역시 지난 2년을 되돌아보며 만감이 교차하는 듯했다. 미국 인디애나대 의대 할 브록스마이어 교수는 제대혈(탯줄 혈액)이 혈액치료에 유용함을 처음 밝힌 이 분야의 거장. 그가 김 교수를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