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절
온정
d라이브러리
"
후의
"(으)로 총 323건 검색되었습니다.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10
선진기술을 확보했다. 제3세대 컴퓨터는 71년에 개발한 111기로 IBM 300시리즈가 발표된 7년
후의
일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있어서는 외국과의 교류가 적어 세계 기술변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기종간의 계열화·호환성이 경시됐으며, 경제성이 고려되지 않는 임무달성 제일주의는 많은 문제점을 ... ...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10
좋은 구실이 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가까운 사람들과 환경보호모임을 갖자우리의 20년
후의
모습이 반드시 미국의 오늘날 상황과 같으리라는 예측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고통의 체험을 거치지 않은 깨달음이 없듯이 그들의 경험과 깨달음은 우리에게 귀중한 거울로서 가치가 있다. 미국은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09
있으며 인체의 적응 능력을 높여주는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우주환경에 적응된
후의
우주에서의 생활은 지구중력으로부터 해방된 생활이 될 것이다. 물속에서 느끼는 기분이나 모태에서 느끼는 태아의 상태와 유사할 것이다.무중력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되는 우주공간에서는 사람의 팔과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08
명상을 하고 있는 히말라야에 가서 직접 측정한 결과, 시작하기 전과 명상을 하고 난
후의
인체의 생리 변화가 현저하게 목격됐다. 산소소비량은 감소하였으며, 혈압은 떨어지고, 체온은 올라갔으며 뇌파중 알파파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아직 우리는 명상상태가 수면상태와 다르다는 것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07
지구 시간으로 3개월이 된다.(2) 지구의 반경을 R이라 하고 인공위성이 추진되어 올라간
후의
공전 주기를 P이라고 하면 케플러 법칙으로 부터${P}^{2}$/${(R+h)}^{3}$=${P'}^{2}$/${(R+2h)}^{3}$이므로 ${P'}^{2}$=[${(R+2h)}^{3}$/${(R+h)}^{3}$]${P}^{2}$가 된다.익힘문제(1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07
부르기도 한다.설령 빙기가 다시 돌아온다고 해도 그것은 적어도 수천년 혹은 수만년
후의
일이 될 것이다. 때문에 절박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더구나 인간의 힘으로 이룩되고 있는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좋은 의미이든 혹은 나쁜 의미이든 간에 자연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07
현재 일기예보의 오차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들은 멀지 않아 10일
후의
일기예보와 그 오차가능성을 함께 발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믿고 있다.이와 같이 비선형현상은 과학전반에 걸쳐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과제로 부상되고 있다. 그 연구접근 방법으로는 컴퓨터시뮬레이션, 수학적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07
강한 자기장을 걸어 꿀벌안에 있는 자철광 결정의 자화 방향을 반대로 바꿔 놓았다. 그
후의
실험에서 벌들은 훈련받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날아다녔다. 뇌종양등 새롭게 해명할지도커시빙크박사가 자신의 연구를 인간두뇌에 적용시키게 된 것은 질병문제 때문이었다. 지난 10년간의 전염병학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06
우리는 두 방정식에 a=g, ${v}_{0}$=0을 대입하여v=gt (10)s=gt²/2 (11)을 얻는다. 따라서 3초
후의
물체의 속도는 v=980×3=2940cm/초(=2.94m/초)가 되어 있고 떨어진 총거리는 s=980×3²/2=4410cm(=44.1m)에 이른다.물체를 연직 위로 던지면 물체는 (그림6)을 90도 돌려놓은 것과 똑같이 ...
테마에세이/인간과 환경⑤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05
그런 융숭한 대접을 받으며 박물관으로 향하게 될까? 아마도 10만년후 혹은 1백만년
후의
고고학자들은 난지도를 발굴 대상지 1호로 꼽을지도 모른다. 원숭이를 닮은 고고학자들이 난지도 매립장에서 수천명 인부들을 거느리고 흙을 파내고 있는 장면을 상상하면 웬지 숙연한 느낌이 들기까지 한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