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칭찬
탄성
감탄사
탄복
절규
d라이브러리
"
감탄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의 힘! 열혈독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학교에 가지고 왔는데 아무도 원리를 몰라서 제가 설명해 줬어요. 그랬더니 친구들이
감탄
하면서 과학짱이라고 부른 거예요.실험도 많이 해 보았나요?미션키트를 사서 실험도 많이 따라해 보았어요. 가끔 형과 같이 하기도 하는데 재미있어요. 제가 해 본 것 중에서는 화산 실험이 가장 재미있었어요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부수어 먹어 버리지 못하게 독을 갖도록 진화한 거죠.”닥터고글의 설명에 요리사가
감탄
한다.“그렇군요. 식물에게도 생존 전략이 다있군요.”“그뿐만이 아니에요. 몸에 상처가 나면그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독성물질을그쪽으로 집중시키기도 해요. 그래서 야채나 과일을 먹을 때 상처가 난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않았는데 벌써 다나카 군의 낚싯대에 뭔가가 걸렸다. 다나카 군은 자신의 실력에
감탄
하며 낚싯대를 잡아당기는데…. 꽤액! 이게 뭔 일? 참치 대신 무시무시한 상어가 낚인 게 아닌가?“으아아악~, 날치 살리려다 사람 죽겠다! 닥터고글 살려어~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결정을 만드는 그의 능력은 쟁어 교수조차 “당신은 다이아몬드 손을 가졌구만!”이라고
감탄
할 정도다. “사실 결정은 손이 아니라 눈으로 만듭니다. 단백질이 녹아있는 용액을 적당한 조건에 두면 결정이 자라는데 그 조건을 찾을 때 눈썰미가 필요하죠.” 즉 단백질이 엉켜 결정이 아니라 침전이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아름다움, 윤기 흐르는 이파리들의 푸르름. 하지만 무엇보다도 초목들의 풍요로움에
감탄
해 마지않는다.”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여러 나라를 방문하고 남긴 글 가운데 하나다. 내년은 다윈이 태어난 지 200년이 되는 동시에 그의 대표작인 ‘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50년이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O식품회사에서 조미식품을 개발했던 이원철 전(前)연구원은 MSG의 마법 같은 효과에
감탄
을 금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맛을 내는 게 간단한 것 같지만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단맛, 짠맛, 신맛이 적절하게 조화가 돼야 ‘맛있다’고 느껴지는데 이게 쉽지 않아요. 그런데 MSG를 조금 넣으면 ... ...
인문학 소양 뛰어난 과학인재 양성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염려해 12시 취침 규정을 마련했을 정도”라며 “학생들의 진리에 대한 탐구 열정에
감탄
할 때가 많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연구교육(R&E)프로그램, 과제연구를 통해 과학자의 자질을 배운다. 2학년 김재윤 군은 “실험을 바탕으로 한 토의와 보고서 작성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탐구력을 ... ...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냥냥을 휙 돌아보는 므울 달라 씨. 눈빛이 예사롭지 않다.“당신의 과학 지식에
감탄
했어요. 그래서 당신을 다음 실험 대상으로 결정했어요. 도와 주실 거죠?”므울 달라 씨의 간절한 표정을 보니 도저히 도와주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불쌍한 닥터고글. 어젯밤 바다에 빠졌던 기억이 아직도 ... ...
중국의 세계자연유산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걸맞게 깨끗하고 아름다운 물빛의 향연이 펼쳐진 구채구와 황룡의 비경에 세계인이
감탄
하고 있다. 문화유산에 가려져 있다가 뒤늦게야 조명을 받고 있는 중국의 자연유산을 감상해보자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흰개미의 소화를 도우니, 이거야 말로 찰떡궁합의 공생관계로군요!”어이쿠야 씨의
감탄
에 신이 난 닥터고글의 설명이 이어진다.“흰개미의 후장에 사는 공생 미생물은 과학자들에게 아주 흥미로운 연구대상이에요. 나무를 분해해 당분을 만드는 원리를 이용하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