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프로그램인 린(Lean)에 대한 기사를 읽었어요. 린은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팀이 2013년 개발한 증명을 검증하는 소프트웨어인데, 앞으로 수학 논문을 검증하고 난제를 풀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는 사실을 알게 돼 놀라웠어요. 그래서 올해 6월에 학교 친구인 이현진과 같이 수학 문제를 푸는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TEM 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우주 개발에 있어 STEM 교육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방침에 따라 장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인 ‘우주 교육 2030’을 진행하고 있다. 지적 호기심과 STEM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의사소통 능력도 대단히 중요하다. 100년 전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을 위한 자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많은 한국에게 기회는 더 많을 겁니다. 물론 먹구름도 끼어있습니다. 내년 R&D(연구개발) 예산이 삭감돼 기초과학 연구가 지금보다 더 나빠질 거란 예측도 많으니까요. 과학동아는 위기를 기회로 삼기 위해 다양한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노벨 재단 관계자부터 역대 노벨상 수상자, 한국에서 노벨상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저개발 국가의 보건과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친환경 화장실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박 박사의 스마트 변기도 공중 보건 개선에 보탬이 될 수 있을까. 이미 박 박사는 스타트업과 힘을 합쳐 스마트 변기를 만들고 있다. 내년에 시제품이 나오면 요양원 등 노인복지시설에서 효용을 검증할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합니다.“제 조카가 자궁센터에서 태어났는데 꿈을 꾼 적이 없어요.”인공 자궁이 만약 개발된다고 해도 그 아이가 행복할 수 있을까요? 권 교수는 “태반을 통해 태아의 발달을 돕는 다양한 호르몬이 전달된다”며 “(자궁 속 아기가) 단순히 크기가 커지고 장기가 정상적으로 자란다고 해서 잘 ... ...
- [가상 인터뷰] 전기차 폐배터리서 금속만 쏙쏙 뽑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방법이 있었지만, 너무 복잡해 효율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어. 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여러 용기를 거치지 않고도 한 번에 금속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어 효율적이야. 기초과학연구원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연구원은 “기존의 금속 분리 방법보다 추출제를 적게 넣어도 금속을 빠르게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인간이 사라진다면 지구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도와 게임 속에서 아이템을 판매하는 상인, 길을 안내하는 안내자 등을 NPC라 하죠. 개발자들이 설정해 놓은 대로 움직이는 이 NPC들에게 생성 AI를 탑재하고, 챗GPT로 서로 대화하게 하면 어떤 일이 펼쳐질까요? 똑똑해진 NPC들은 인간보다 더 합리적이고, 스스로 파티를 개최하는 등 재밌는 놀이까지 ...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DNA의 ‘미스센스 돌연변이’를 분석하는 AI인 ‘알파미스센스(AlphaMissense)’를 개발해 7100만 개에 달하는 미스센스 돌연변이의 위험성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doi: 10.1126/science.adg7492 DNA에는 몸을 이루는 단백질의 정보가 담겨있다. 정확하게는 DNA를 이루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도움을 주는 방법은 의학 분야로 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개발이나 나노입자 세포치료제, 줄기세포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제 등 다양한 연구가 곧 나올 예정이다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교수와 페렌츠 크라우스 교수(당시에는 오스트리아 빈 공대 소속)팀의 공동연구로 개발됐다. 펨토초 레이저의 펄스폭이 줄어들자 레이저의 절대위상 안정화가 중요한 이슈가 됐다. 절대위상 안정화는 레이저 펄스내의 전기장을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단일 아토초 펄스 생성을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