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성과
열매
열매맺
결정
과실
d라이브러리
"
결실
"(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의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인공피부에 이르기까지, 손상된 생체조직을 복원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이제
결실
을 맺어가고 있다. 아직 '6백만불의 사나이' 수준은 아닐지라도 생체내에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데 최소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만든 장기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생체는 다른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연구는 1958년 게르마늄 결정체의 격자진동실험을 통해 포논 분산관계를 찾아냄으로써
결실
을 맺었다. 1952년쯤 이미 학계에서는 격자진동의 분산관계 유사성을 고려해, 강자성 및 반자성에도 포논처럼 매그논(스핀파로 기본단위의 에너지 진동)의 측정이 검토됐다. 한마디로 브록하우스가 고안해 낸 ... ...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풀지 못한 숙제의 하나로 남아있다. 뇌의 기능을 표시한 지도를 작성하려는 노력은
결실
을 맺지 못하고 있다. 첫번째 시도는 19세기가 시작될 즈음에 등장한 골상학(phrenology)이다. 골상학에서는 사람의 두개골 생김새가 상응하는 뇌 부분의 발달 정도를 반영한다고 생각했다. 골상학자들은 죄수 또는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되풀이한다. 그런데 같은 종의 식물이라도 생육환경에 따라 발아의 시기, 개화 및
결실
의 시기가 다르다.이러한 식물의 생장과 발달 및 노쇠에 이르는 생활사를 조절하는 물질중 하나가 식물호르몬이다. 식물호르몬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세기말 독일의 식물학자 줄리우스 폰세크스로부터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열심히 탐사에 임하시는 모습을 보고 감명받았습니다. 이를 학문과 연결하면 좋은
결실
이 있을 듯합니다. 아울러 이런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신 동아일보와 쌍용에 감사드립니다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제어한다.혼돈을 이용하는 연구 못지않게 혼돈을 제어하는 연구가 최근 몇년 사이에
결실
을 맺기 시작했다. 과학기술자들은 예측이 불가능하거나 제어할 수 없는 것에는 애당초 관심을 가지려 들지 않는다. 혼돈은 이 두가지 모두에 해당되는 것으로 치부되었다. 그러나 혼돈제어의 가능성이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에너지 변환과정을 우회하여 청각을 회복하는 장치이다.인공와우각 연구는 80년대에
결실
을 맺었다. 미국 식품의약품국(FDA)는 1984년에 처음으로 성인용 인공와우각의 상용화를 승인했으며 1990년에는 그 용도를 어린아이까지 확대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에 서울대와 연세대에서 이식수술에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5마리에 불과하다는 이야기이므로 사실 실용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이같은 연구가
결실
을 맺어 우리 연구실에서도 속간잡종이 생산되었다는 점에서는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세계 두번째로 '메닭'생산성공앞서 정일정박사도 지적했듯 이번 메닭 생산이'세계최초'는 아니다. "지난 91년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조사해보면 꽤 높은 빈도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다. 염색체 특정영역의
결실
에서 존재가 유추되고 있는 암억제유전자는 1986년 망막아세포종의 RB유전자가 발견된 이래 이미 20종을 넘어섰다.그런데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되기 위해서는 한 유전자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하다. 실제로는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라벨 붙이는 일을 미루어 왔는데, 이번에 돌아가면 자신있게 붙이게 된 것도 저에게는 큰
결실
입니다.이순용 : 큰 나무가 없는 게 특이했습니다. 기껏해야 2m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군부대지역인 만큼 사계청소의 영향이라고 들었습니다. 섬지방에서 평안피나무(?)를 발견한 게 수확입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