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원
마당
바깥마당
야드
택지
타작마당
원정
d라이브러리
"
뜰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남는 것은 NBS가 영국에서 이식해온 '뉴턴의 사과나무'를 다시 이식받아 대덕 표준연구소
뜰
에 심은 일이다. 뉴턴은 잘 알다시피 물리학 발전의 대들보 역할을 한 기초과학의 상징적 존재다. 그가 그의 고향집 정원에 있는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 법칙'을 만든 것은 널리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손꼽힌다. 하루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경관이 확연하게 달라진다.아침에 해가
뜰
때, 남측의 협곡 벽에서 북쪽을 바라보면 황금색을 배경으로 여러가지 크기의 곶지형(headland)이 회청색으로 빛난다. 대소규모의 기이한 지형, 즉 메사 뷰트 피내클, 흔들바위나 다층석탑을 닮은 토어(tore) 등이 ... ...
2 점보제트기가 떠서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함성은 모든 발명자들의 공통적인 환호성이 되었다.아르키메데스의 원리는 철로 된 배도
뜰
수 있다는 것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하지만 2백년전까지는 보트나 배는 모두 나무로 만들어져 있었다. 철선이 발달되기 시작한 것은 강력한 증기 엔진이 만들어지면서부터였다. 당시는 외륜을 달고 그것을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30만평 땅을 가득 메우고 있다. 이곳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부석(浮石). 물에도
뜰
만큼 가볍다해서 뜬돌이라고도 불리는 이 화산암은 대폭발이었던 5기 분출물로서 성인봉 알봉주변에 특히 발달해 있으며 울릉도 전체에 걸쳐 발견된다. 성인봉을 오르는 길이 유난히 미끄러운 것도 바로 쉽게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소프트웨어동호회는 현재 회원이 1천8백여명으로 '초보자의
뜰
동호회'와 함께 PC서브내에서 쌍벽을 이룬다. 지난해 1월에 개설됐는데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회원만 2백50명선. 공개소프트웨어 교환과 프로그램언어에 관한 소개를 주목적으로 한다. 현재 동호회 자료실에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둥둥 뜬다.그뿐 아니라 토성은 태양계 천체중에서 가장 밀도가 낮아서 물에 넣어도 둥둥
뜰
정도이고 행성들중에서 가장 많은 위성(현재 확인된 것만도 20개)을 거느리고 있어 학자들의 관심이 대단한 생성이다. 토성의 위성 타이탄(Titan)에는 지구와 비슷한 '질소의 대기'가 두껍게 덮여있고 온도가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중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NN의 피터 아네트 특파원이 바그다드의 호텔
뜰
에서 6피트 직경의 우산식 휴대용 안테나로 뉴스를 교신하는 모습은 인상깊은 것이었다. 이러한 통신방송위성의 덕택으로 우리는 걸프전쟁을 안방에서 마치 전쟁영화를 관람하듯 생중계로 보게된 것이다.적지의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할 새로운 종(種)의 식물체다.바야흐로 인간은 유전공학적인 기법으로 내밀한 신의 뒤
뜰
을 숨 죽인 채 넘겨다보고 있으며 오만불손하게도 신비에 싸여있는 생명의 창조라는 신의 고유권능에 도전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수완, 즉 인간의 손의 능력은 새 생명체의 창조(혹은 생명체의 변조 ... ...
우주에 사람의 두개골 쏘아 올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승무원들의 몸을 투과하는 입자들에 대해서는 눈을 감아 왔다.하지만 이제는 눈을
뜰
때다. 우주왕복선의 승무원에 비해 우주정거장의 탑승자가 받는 방사선량이 30배에 가깝다는 사실을 모르고서는 아무런 계획도 수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정보는 방사능 방호장비를 마련하는 데도 ... ...
아리스토텔레스 Vs 데모크리토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이다.④ 풍선속의 수소는 무게가 없어 고무보다 가볍기 때문에
뜰
수 있다.3. 데모크리토스는 "사람의 영혼조차도 가볍고 활발하게 움직이는 원자로 돼 있다. 인간의 영혼도 신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원자의 운동을 지배하는 자연법칙에 따른다"고 주장했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