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쾌
명확
확실
분명
d라이브러리
"
명백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동기와 거푸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앞선 기술이었다.서유럽에서 초기 인쇄에 사용된 활자가 모래 속에서 부어 만들어졌다는
명백
한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사실은 한국 청동활자의 주조법과 공통된다는 점에서 유의할 만하다. 청동활자를 주조해내는 모래 거푸집의 개발은 인쇄술의 혁신을 가져온 기술의 바탕이 되었다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알바레즈의 주장이 대변혁론을 과학적인 것으로 끌어 올렸다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명백
한 증거를 통해 차근차근 자신의 가설을 증명해냈기 때문이다. 외계원소인 이디륨을 통해알바레즈의 이론은 지구상에서 매우 드문 원소인 이디륨(Ir)이 대멸종기였던 백악기의 지층에서 잘 발견된다는 데 ... ...
암의 메커니즘까지 밝혀낸 분자생물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행동한다는 사실을 알고도, 그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것이다.그러나 해답이 곧
명백
하게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의 변화에 의해 암이 발병함을 지난 80년대에 알아냈기 때문이다. 최초의 영감은 동물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를 분석하는 과정중에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조개껍데기가 발달하였다.이 암모나이트는 오르도비스기 초에 나타나 데본기 초까지
명백
을 유지해 오다가, 3억7천만년 전, 2억5천만년 전, 그리고 2억1천만년 전 무렵에 대량 멸종을 겪는다. 그후 흥망성쇠를 되풀이하다가 약 7천만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말에 완전히 멸종하고 말았다. 90t이나 ... ...
「미국의 영혼을 팔아먹었다」는 비판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나타냈다.순수히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이것은 미국이 그 경제적 주도권을 일본에 넘기는
명백
한 증거로 보는 시각도 있다.그러나 80년대들어 미국기업은 일본에뿐 아니라 서유럽 여러 나라에 수다히 넘어갔다. 낯익은 이름 '스미스 코로나' '제네랄 일렉트릭 TV' '윌슨 스포츠용품' 등이 모두 외국인의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선행돼야겠지요.김창-현재의 대학이 과거처럼 엘리트 교육의 장소가 아니라는 점은
명백
합니다. 이제는 보편교육의 장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어요. 이런 대학의 위상변화는 기업체의 신입사원모집광고에서 여실히 느껴져요. 아예 전공시험을 치르지 않을 정도로, 대학에서의 전공이 무시되는 ... ...
발열없는 계산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계산을 할 수 있는가? 순수이론적인 이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 IBM '왓슨'연구소에서 계산기의 이론적 한계를 오랫동안 연구해온 'R.랜더워'박사와 ... 더러 있었다. 그러나 두 학자의 주장이 너무도 자신있고 강하여 앞으로 어느쪽이든
명백
하게 증명될 것이 기대된다 ... ...
온실효과로 균열·이동시작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상당부분이 바다밑에 가라앉게 되며 또 예측못한 생태계의 대변혁을 가져오게 될 것은
명백
하다. 따라서 장래에 닥칠 재난을 어느 정도 예측해서 대비책을 세우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원인은 온실효과 때문최근의 리모트센싱 결과(레이다나 지진계 사용)에 따르면 서부빙대는 굉장한 규모로 ... ...
노쇠현상의 주된 원인의 하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될때 심해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교수는 결국 누적되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손상이 '늙음'을 초래하는것 같다고 말하면서
명백
한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C와 K는 이런 손상을 어느정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것 같다고 주장했다 ... ...
허블 우주 망원경, 이번 가을 케네디우주센터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예정.이 망원경이 우주에 설치되면 우주와 천체에 대한 인류의 지식은 크게 향상될 것이
명백
해 천문학자들은 가슴 설레고 있다. 대기에 의한 방해 안받아허블 우주망원경은 지표면에서 5백마일 정도의 상공에 머물게 된다. 거리로 따지면 지상의 망원경보다 별들에 5백마일 가까이 접근하는 정도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