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무한
영겁
d라이브러리
"
무궁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컬러프린터의 세계 1천6백만가지 색상 표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등을 선호하고 있다는 점으로도 이 사실은 증명된다. 따라서 앞으로 컬러 프린터 시장은
무궁
무진할 것이다.또 현재 컬러 프린터 사용자는 대부분 컬러 스캐너를 기본으로 사용하며, 여기에 덧붙여서 팩시밀리와 같은 다기능 제품을 원하고 있다. 즉 입출력의 자동화와 통신망의 확대가 이루어져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할 뿐 켄타우르의 모습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은 사람들을
무궁
무진한 상상의 세계로 인도한다. 실제 신화 속의 그림과 별들을 연결짓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일단 이 별자리를 사수자리로 보게 되면 결코 다시는 그 모습을 잊지 않을 것이다.여기서 주목할 모습은 주전자의 ... ...
「지구의 산소탱크」열대우림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보물이나 보석을 훔치러 온 도둑들이다. 조금 다른 시각에서 보면 열대 밀림 속에 있는
무궁
무진한 보물들을 탐내는 영화속 백인들의 모습은 식민 정책을 앞세운 구미 여러나라의 침략행위를 상징하고 있다.유럽인들이 열대지역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것은 5백년전이다. 그들은 동남 아시아의 향료나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장갑차 등이 인간의 원격조종을 받아 일종의 대리전을 펼칠 것이다.지금까지 소개한 TE의
무궁
무진한 가능성이 실현되려면 통신기술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ME) 광기술 등 관련분야의 획기적인 진보가 수반돼야 한다. 아울러 TE의 미래상이 그저 단순한 환영 이상의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성경 창세기 1장)아시모프가 가고 없는 지금, 과연 우리들은 그의 무한한 상상력과
무궁
무진한 가능성의 세계를 고스란히 이어받을 수 있을까? 우리는 이 질문에 확신에 찬 대답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가 남긴 그 방대하고 독보적인 업적들은 영원히 남아 인류문명의 ... ...
햇볕없는 곳에서도 신나게 달리는 태양 에너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장점으로는 배기가스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조작이 간단하다는 데 있다. 아울러 그 양이
무궁
무진하다는 점도 유리하다. 그러나 아직 주행성능 등판성능 가속성 면에서는 크게 처지고 있다.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태양광전지의 변환효율이 낮아 큰 출력을 낼 수 없기 때문이다.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김호기교수팀이 차세대 전화기용 압전세라믹스를 개발한 정도.기능성 신소재는 아직
무궁
무진한 미개척 분야다. 필요에 따라 어떠한 기능을 갖는 소재라도 개발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21세기 대장장이들'은 물을 불로 바꾸는 요구라도 수용하기 위해서 열심히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는 바다조개들에 얽힌 이야기를 그들의 생태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자.바다는 영원함과
무궁
함의 상징이요, 향수의 모체이기도 하다. 모든 생명의 근원이 바다였기 때문일 것이다. 바다에 사는 조개중에서 인간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몇종을 골라 사진과 함께 간략히 살펴보자.해산(海產)패류와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질문은 어떻게 그것을 만들었으며, 이러저러한 부품을 부착할 것이냐 아니냐 등
무궁
무진했는데 그중에는 좋은 제안들도 많았다. 워즈니액은 집회가 있을 때마다 기계를 들고와서 전기 콘센트가 있는 강당 뒷좌석에 앉아 여러가지 제안을 귀담아 들으며 자신의 컴퓨터를 개선해 나갔다.워즈니액의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국민학교의 98%가 8비트를 쓰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8비트용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무궁
무진해 교육용으로 아무런 불만이 없다는 겁니다. 우리도 16비트로 전환했지만 8비트에도 교육용 프로그램이 돌아가도록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6비트로 결정되니까 그때까지 쓰던 8비트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