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d라이브러리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화성탐사선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오는 4월 7일에 화성탐사선 ‘오디세이’를 발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탐사선 이름은 SF명작인 아서 클라크의 ‘2001 우주의 오디세이’를 본딴 것이다.오디세이는 무인 궤도탐사선으로, 크게 세가지 임무를 띠고 있다. 화성 표면의 광물 성분 분석, 복사에너지 측정, 그리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매우 정밀한 나노구동기관을 개발하려는 것이다.예를 들어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는 인공위성을 10cm 규모 이내로 자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지상에서 인공위성을 제어하는 장치의움직임이 ${10}^{-7}$m 정도의 정확도가 얻어져야 한다.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최근‘디스커버리’지는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연구하던 로켓 과학이 미술품의 복원에 탁월한 효과를 거뒀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술품과 NASA의 로켓 과학.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이 두가지가 과연 어떻게 연결될 수 있었을까.과학자들은 가끔 아주 우연한 발상에서 탁월한 결과를 끌어낸다. ... ...
에어울프 현실화될 날 멀지 않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양옆으로는 비행기와 같은 날개를 달아 양력을 얻는 방법으로 비행속도를 증가시켰다.
미항공우주국
(NASA)는 이 연구에 1백만 달러가 넘는 지원을 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자이로플레인은 수직이륙에 성공했다. 현재 시험비행을 계속하면서 이론적인 단점을 조금씩 수정해가고 있다 ... ...
운석에서 박테리아 합성물질 나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화성에 원시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새로운 증거가 국제지질화학·운석화학회지 12월호에 제시됐다.미 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남극에서 발견된 화성 운석(ALH84001)을 조사한 결과 이 운석에 지구의 해양성 박테리아가 만드는 것과 동일한 자철광 결정이 존재함을 발견했다.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온하늘을 뒤져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견만큼이나 새로운 소행성의 궤도 예측은 힘들다. 따라서 소행성이 언제 얼마만큼의 확률로 지구와 충돌한다고 예보하지만‘양치기소년’이 되기 십상이다.최근 들어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한다는 언론 ... ...
오존구멍 위험 알린 파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기기를 교체하고 재관측을 실시했지만 역시 이전의 관측이 옳다는 결론을 얻었다.한편
미항공우주국
(NASA)은 위성을 통해 오존층을 관측하고 있었으나 1985년도 당시의 관측 데이터에는 오존량이 급감했다는 사실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파먼의 발견은 한때 의심받기도 했지만 곧 위성의 ... ...
우주 건설 작업에 '로봇뱀' 참여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미항공우주국
(NASA)은 우주 건설 작업에서 유용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로봇뱀 ‘snakebot’을 개발중이며, 향후 5년 이내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지난 10월 4일 사이언스데일리가 보도했다. snakebot 제작에 앞서 선보인 시험 로봇뱀은 행성 표면의 균열 속으로 쉽게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복잡한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정도의 과학 지식만 있으면 충분하다.아서 클라크는 이 작품을 쓴지 14년만인 1987년,
미항공우주국
(NASA)의 엔지니어 출신인 젠트리 리와 공저로 ‘라마 2’를 발표했고, 그 뒤 잇따라 라마의 후속편을 내놨다. 우리나라에도 이 작품들이 모두 번역, 소개돼 있다.한편 라마와의 랑데부는 현재 미국에서 ... ...
태양계 밖 행성 10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노틀담대 관측팀은 미세중력렌즈를 이용한 행성 발견 여부가
미항공우주국
의 지구형 행성 탐사계획의 성패여부를 가름할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다.위의 방법들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행성을 찾는 식측정법이 있다.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 별을 가릴 때의 광도변화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