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도"(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월 16일,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영상이 하나 있다. 지구가 공 모양이 아니라 주사위 모양의 정육면체라면 지금과 어떻게 달라졌을까 과학적으로 추측해본 영상이다. 이 영상은 전 세계에서 엉뚱하고 기발한 연구 결과를 재미있는 영상으로 만드는 ‘채널AI’에 공개됐다. 제임스 채펠 호주 애들레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상담소에 두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 “2년째 ‘냐옹이’를 키우고 있는 집사예요. 고양이는 개와 달리 따로 배변훈련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는데, 우리 냐옹이는 집안 곳곳에 실례를 해요. 도대체 냐옹이는 왜 이런 걸까요?” [왜?] 오줌을 못 가리는 고양이도 있다?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오리 159만 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다행히 1월 20일 현재 구제역은 발생하지 않았다. 둘 다 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어서 백신은 한계가 있다. 예방이나 치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파란색 스키복이 돋보이는 선수가 붉은색과 파란색 기문이 꽂힌 슬로프를 S자 모양으로 활강한다. 기문 사이를 몇 차례 멋지게 통과하고 마지막 기문을 향해 방향을 회전하는 순간, 중심을 잃고 쓰러져 버렸다. 한 바퀴를 구르고 폴대까지 놓친 채 널브러진 선수. 여기저기서 달려온 스태프들이 쓰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단 한 명의 시청자만 있어도 최선을 다하는 수학동아TV! 안녕하세요! BJ맹추입니다. 두 번째 방송에서 다룰 수학 개념은 특집 기사에 등장하는 ‘대칭’입니다. 대칭은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이지요. 그러나 흔할수록 눈여겨 보지 않는 법. 오늘 방송을 보면 그동안 몰랐던 대칭의 숨은 이야기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자멸(apoptosis)’ 현상은 언뜻 역설적으로 보입니다. 열심히 만들어 놓은 세포가 스스로 죽는다니요. 사실 우리 몸의 세포가 죽는 과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상처 등으로 세포가 손상되는 경우, 세포내 소기관들이 점점 부풀어 오르고 세포막이 손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합동과 대칭의 심미성조선시대에 쓰던 반짇고리는 바늘, 실, 골무, 가위 같은 바느질 도구를 담는 그릇이다. 나무나 종이를 주로 사용했으며, 모양은 네모반듯하거나 팔각형 또는 둥근 모양이다. 반짇고리에 있는 장식을 자세히 살펴보자. 합동인 꽃이나 새 장식, 대칭인 십장생 무늬를 조각해 칠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음식-영양소+찌꺼기=똥’.섭취한 음식을 치아로 잘게 부수고 삼키면 산성도가 높은 위로 이동한다. 이후 소장에서 영양소를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는 변이 돼 밖으로 배출된다. 변기에 앉아서 물을 내려버리면 나와의 인연은 이걸로 끝. 하지만 사실 대변의 참된 인생은 이때부터 시작이다. (사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골반 뼈가 크면 암컷이다?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에 ‘수’라는 이름이 붙은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로는 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을 최초로 발견한 연구원 이름이 ‘수 헨드릭슨’이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 이유는 이 티라노사우루스가 암컷이라서 여성적인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고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