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전
옥편
딕셔너리
역사책
사적
도서 관원
d라이브러리
"
사서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불렸던 발해왕국의 역사가 중국역사의 한가락으로 왜곡되어가고 있음이 중국의 최근
사서
나 유적의 안내판에 나타나고 있다.발해는 고구려의 옛터전에 일어나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워 해동성국이라 불렸던 우리민족이 세운 나라다. 이 발해역사의 뿌리가 지금 중국역사의 한가락으로 왜곡되어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받아들여 이를 지지하는 내용의 책이었으나 교회의 미움을
사서
종교재판에 끌려 나갔다. 브루노의 주장이 옳다면 신이 만들어 놓은 천구는 완전히 믿을 수 없는 것이 되며, 중세사상의 전 조직도 불신당하는 결과가 된다.그는 1600년에 종교재판에서 파문을 당하고 ... ...
파동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②'덮개'는 하나도 떨어지지 않는다.③D F점의 '덮개'만 떨어진다.6. 연주용 피아노를
사서
'완전하게' 조율을 하기 위해 정선된 소리굽쇠(음차)에 피아노음을 일치시킬 수 있는 일류 피아노 조율사를 불렀다. 피아노 조율사가 '완전한' 조율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시간이 필요하겠는가?①약 ... ...
천문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해외로 흘러나갔기 때문이다. 그런시기에 인촌선생이 그렇게 큰 돈으로 천문시계를
사서
집에 보존하다가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기증했다는 사실은 나라사랑의 큰 뜻을 몸소 실천한 일로 오래 기억될 것이다.이런 천문시계는 지금 전 세계에 하나 밖에 없다. 동양과 서양의 천문시계의 역사가 이 ... ...
진시황의 지하무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8마리의 준마를 달고 있다.말의 높이는 평균 0.66m, 길이는 약 1.12m이다. 시황제의 준마는
사서
에 7마리의 이름이 전해지고 있다. 추풍(追風), 백토(白兔) 등이다. 그 이름에서도 천리를 달리는 준마라는 것을 느껴진다.시황제는 마차에 올라 준마를 한줄로 묶어 놓고 5번이나 대해(大海)와 태산을 ... ...
당신도 PC통신 유저가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지닐 뿐 아니라, 초창기의 PC 통신광들을 키워냈다는 의의도 함께 가지고 있다. 전자
사서
함 서비스는 정보은행 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가 수동적인 입장에서 증권정보나 보는 차원이 아니라 자기가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다른 사람이 자기에게 보내온 편지를 컴퓨터를 이용해서 ... ...
정보문화확산 글짓기 현상공모 최우수 당선작 내가 본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치고 있다. 그리고 이글을 정보문화센터로 보내는 것도 우편이 아니라 전자
사서
함을 통해서 보내려고 한다. 십 년전에는 생각도 못했던 일을 나는 지금 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십 년 뒤에는 어떤 기상천외한 일들이 벌어질까? 도무지 상상이 되질 않는다. 다만 한가지, 주체적인 정보문화 발전을 ... ...
확산되는 PC통신① 컴퓨터가 맺어준 친구 「엠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BBS이다. BBS라 하는 것은 영어로 Bulletin Board System, 즉 전자게시판 시스팀이다.한글 전자
사서
함처럼 중앙에 용량이 조금 큰 PC를 하나 설치하고 이 안에 서로에게 알리는 공지사항이라든지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등을 수록해 두고, 어떤 사람이 자기 PC를 가지고 전화선을 통해 이 PC에 연결을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처럼 큰 목선(木船)이 명대에 실제로 건조되었는지는 오래동안 의문시되어 왔고, 이를
사서
(史書)의 과장이라고만 생각되어왔다. 그런데 정화의 보선을 건조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 남경 교외의 용강선창 자리에서 1957년 한 자루의 큰 타간(舵桿)이 발굴됨으로써 그런 의문은 단숨에 사라지고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하나 뿐이다. 또 해시계를 만들었다는 기록도 없다.해시계의 기록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사서
는 '세종실록'이다. 여기에는 새로 만든 여러가지 해시계의 이름이 등장한다. 앙부일구(仰釜日晷) 현주일구(懸珠日晷) 천평일구(天平日晷) 정남일구(定南日晷) 규표(圭表) 그리고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