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통솔
알림
가이던스
교도
선화
지도
d라이브러리
"
선도
"(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농학계는 농과대학과 연구소를 통합 운영하는 체질 개선을 거쳐 분자육종의 실용화를
선도
하고 있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원예 종자 수출액은 네덜란드가 미국을 2배 이상 능가하는 세계 1위다.“네덜란드는 작은 나라이면서 어떻게 세계 상위 수준을 유지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20세기 이전까지 천문학은 특히나 여성의 접근이 어려웠다. 그럼에도 여성의 진출을
선도
했던 두 명의 과학자가 있었다.각각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한 두 여성은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천문학에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225 년 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은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1781년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간주되어 왔다 또한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매우 중력이 큰 별에서 나오는 스펙트럼
선도
약간 긴 파장쪽으로 몰린다고 한다전자가 1V의 전위차가 있는 진공속을 통과할 때 얻는 운동에너지 대략 1eV=160219×${10}^{-19}$J이다광학망원경으론 특이한 현상이 관측되지 않지만 전파망원경으로 볼때 ... ...
약효 올리고! 부작용 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위해서는 먼저 어떤 효능의 약을 개발할지 설정한 다음 신물질을 설계, 합성해 ‘
선도
물질’을 도출하고 검증해 ‘후보물질’을 선정하면서 본격적인 신약개발이 시작된다. 대량으로 제조할 공정을 개발하고 여러 단계의 임상시험을 거쳐야 비로소 신약이 탄생된다. 개발 기간은 최소 10년에서 15년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활용할 수 있고 DVD와의 호환성에서 더 유리하다. 양쪽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기술을
선도
하는 기업들의 특허권과 미국의 대형 영화 배급사들의 이해관계가 표준 방식 채택 문제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현재 블루레이 진영에는 CD에서 출발한 광디스크 기술의 원천 특허를 많이 보유한 소니,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체세포복제배아 연구를 허용한 영국이 줄기세포
선도
국가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줄기세포라는 황금어장을 차지하기 위한 경주에서 한국은 한번 넘어졌고, 이전부터 우리보다 앞선 선진국이 더 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이다.그러나 아직 경주는 시작일 뿐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수 있게 만들었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만들 수 있게 했답니다. 하지만 이런 우주왕복
선도
아픔이 있었어요. 1986년에 발사했던 챌린저호는 발사 직후 공중 폭발했으며, 2003년 2월에는 지구로 귀환하던 컬럼비아호가 폭발하는 사고가 있었지요. 그 후로 우주왕복선의 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그런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우수학교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2004~2005년에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지정 영어교육
선도
학교와 북부초등과학중심학교로 지정되어 활기차고 내실 있는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방법 혁신을 통한 21세기의 건강하고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배움의 요람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답니다.주요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전기통신공학에서 폐(閉)루프계(系)의 주파수 특성을 벡터 궤적으로 나타낸
선도
무색의 유독성 액체이며 질소 머스터드라고도 한다 무색의 유독성 액체이며 질소 머스터드라고도 한다끓는점 87℃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독가스로 개발되었으나 이것이 세포(細胞)의 분열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캅사이신채널 이외에 또다른 통증 채널을 규명하는데 여념이 없다. 마취제 없는 세상을
선도
할 통증발현연구단은 지난 1997년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에 선정됐다.창의단지기 오우택 교수 - 동네 라디오 조립 도맡던 손재주꾼오우택 교수가 세계 최초로 캅사이신채널을 밝혀낸데 기여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