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용
유익
실천
실제
유효성
d라이브러리
"
실용
"(으)로 총 1,50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교수는 부호이론처럼 많은 수학 이론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데 쓰인다며 수학의
실용
성을 강조했다.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치는 논리적인 절차나 단계.2막 배꼽 빠지는 수학 개그!“우와~! 떠들지도 않고 교수님 말씀을 이렇게 집중해서 잘 듣다니, 저 감동했어요~! 그래서 제가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활동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직접 추출해낼 수도 있지만 이런 방식은 효율이 매우 낮아서
실용
적이지 않다.2012년 라훌 사페쉬카 MIT 전기공학과 교수팀은 인체의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물질인 글루코오스로부터 수백 마이크로와트의 전기 에너지를 얻어낼 수 있는 초소형 연료전지를 개발하는 데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박사팀의 성과를 이용하면 햇빛만 쬐어줘도 NADPH 효소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할 수 있다.
실용
화에 성공하면 예컨대 5만 원 짜리 신약을 1000원에 만들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백 박사는 “NADPH는 휘발유처럼 효소반응을 일으키는 ‘연료’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투입하기 위해 태양이라는 ‘산유국’을 ... ...
교통사고 사망자 ‘0’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연구와 수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ECU가 그랬듯 스마트 자동차의 다른 기술들도
실용
화 단계를 넘어 의무화되는 필수기술이 될 것이다. 스마트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하루빨리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0이 되는 미래가 오길 기대해 본다 ... ...
첨단 안전 자동차 개발 인력 더 필요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논문연구와 산학과제를 동시에 진행했기 때문에 학문성과
실용
성을 모두 고려하며 연구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 또한 차량시험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차량용 통신, 전기/전자회로, 마이컴 프로그래밍과 같은 유용한 배경지식도 축척할 수 있었다. 교수님은 ... ...
연료전지 2020년
실용
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재자원화다.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속 탄소를 이용해 탄화수소 등
실용
적인 탄소 함유 분자로 만드는 기술이다. 세계적인 환경문제가 된 이산화탄소 공해 해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주목 받는 이 기술의 핵심은 역시 촉매다. 이 부소장은 “에틀 촉매연구소가 미래 에너지와 ... ...
지구를 살리는 젊은 에너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이들은 에너지 분야에서 토네이도형 풍력발전기의 원리 및 에너지 효율증대와
실용
성 방안을 연구해 최고 점수를 받았다.“풍력발전기 속에 토네이도를 일으키다”심사 결과가 발표되기 전 인터뷰에서 이명훈 군은 거침없이 “자신있다”며 웃었다. 하지만 막상 진행자가 “대상! 토네이도!”를 ... ...
목소리 없는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방법으로 27개의 문자를 타이핑하는 데 성공했다. 소르거 교수의 방법은 정확도가 높지만
실용
화하기엔 분당 타수가 낮고 고가의 MRI 기계를 써야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정신적 타자기 중에서는 뇌파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가장 효율이 높다. 그 중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은 문자판에 나열된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달까지 탐사선 보내려면한국형 우주발사체는 태양동기궤도(고도 700km 전후)에 1.5t급의
실용
위성을 탑재해 쏘아올려야 한다. 나로호가 고도 300km의 지구저궤도까지 올라가는 것에 비하면 훨씬 높다. 높이 쏘려면 어떤 기술을 개발해야 할까. 채연석 연구위원은 “액체 엔진의 추력을 높이거나 ... ...
우리나라 세 번째 다목적
실용
위성 ‘아리랑3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1시 39분 일본 규슈 남단의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한 우리나라 세 번째 다목적
실용
위성 ‘아리랑 3호’가 궤도에 진입했어요. 국토와 자원을 관리하거나 재난을 감시하려는 목적으로 고해상도 사진을 찍기 위해 전자광학 카메라를 업고 올라갔어요. 6월 중순에는 첫 위성사진을 지구로 보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