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교
포교
역전
반전
전환
가망
선불
d라이브러리
"
전도
"(으)로 총 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자신문의 공격을 받고 있는 사례를 들었다. MIT 미디어랩을 창설하며 ‘디지털
전도
사’라는 별명까지 갖고 있는 그는 여러 차례 ‘종이의 종말’을 예언한바 있다. 네그로폰테 교수는 “빠르면 5년 이내에 종이책과 종이신문이 사라질 것”이라며 “실제로 일부 인터넷 서점에서는 전자책의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자코를 만들었다. 박 교수가 배양한 후각상피세포를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 만든
전도
성 폴리머와 연결했더니 기존에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연구원들도 나노 고분자에 푹 빠져있다.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류의 양(전류밀도)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 정도를 전기
전도
도라고 부른다. 이 전기
전도
도의 역수에 해당하는 값을 물질의 비저항이라 부른다.키르히호프의 법칙제1법칙(접합점법칙) : 회로상의 한 교차점으로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이 교차점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 전하가 ... ...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덮고 있는 층에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이용해 틈을 낼 수 있다. 이 옷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
성 섬유로 만들기 때문에 따로 전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유연하고 얇은 LED와 광섬유는 주변 환경이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빛으로 패션을 바꿀 수 있으며, 옷으로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보여줄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질소로 만들 수 있는 영하 196℃ 부근에서 초
전도
상태로 변하는 물질을 이용한 고온 초
전도
자석도 개발 중이다. 이처럼 극저온 기술 분야에서도 값비싼 액체 헬륨의 사용을 줄이려는 연구가 이미 시작됐다. 광섬유 제작이나 반도체, 고급 용접에 쓰이는 헬륨은 아직 대체할 좋은 방법이 없다.헬륨이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태양빛이 흡수되면 염료분자는 전자를 내놓는다. 이 전자가 여러 경로를 통해 투명
전도
성 기판으로 전달돼 최종적으로 전류를 생성한다. 전기적 일을 마친 전자는 다시 염료분자의 본래 위치로 돌아오면서 전지를 순환하게 된다. 1) [난이도 상] 다음의 물질 중 a는 R자리에 H가 올 경우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뜨고 지는 원리’를 비롯해 20여 권의 천문학 관련 서적을 펴낸 명실상부한 ‘천문학
전도
사’이다.그의 말처럼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과학글쓰기의 중요성을 통감하고 있다. 과학글 쓰기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1990년대부터 시작됐다. 특히 2003년 과학기술부 원자력 국장을 지낸 임재춘 영남대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러한 책을 고를 때에는 이론배경이 지나치게 생략되고 흥미 위주로 편집된 ‘주객
전도
’식 책은 피하는 게 좋다. 그리고 초등학생 때까지는 독서기록장을 스스로 운영하기 어려우므로 부모가 직접 책의 제목 / 출판사 / 저자 / 분야를 표시하고 독서 후 만족도 / 관심도 / 주도적 선택 여부 등을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 개발회사를 다니는 김종찬 씨(사진)는 온라인상에서 아이패드
전도
사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재학 중 군대를 가기 위해 한국에 온 김 씨는 지난해 12월 아이폰을 처음 손에 쥐었을 때 감동을 잊지 못한다고 했다. 스티븐 잡스가 올 초 아이패드를 공개하자 ... ...
분자전자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는 OLED는 유기 물질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1970년대에
전도
성 고분자가 발견되면서 분자전자재료공학의 문이 열렸고, 이후 눈부시게 발전해 현재에 이르렀다. 현대인의 삶에서 떼놓을 수 없는 디스플레이, 통신, 메모리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어 발전 가능성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