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판다의 대장에서는 고기의 소화를 돕는 미생물이 주로 발견된 거지요. 즉, 판다는 신체 구조상 대나무를 잘 소화할 수 없는 몸인 거예요.몸이 영양분을 잘 흡수하지 못하자, 판다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나무를 어마어마하게 먹기 시작했어요. 한 번에 흡수되는 영양분이 적으니 많이 먹어서 필요한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프테로닥틸루스보다 4000만 년 먼저 산 원시 익룡이다. 디모르포돈과 같은 원시 익룡은 조상 파충류로부터 물려받은 긴 꼬리를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원시 익룡은 물려받은 긴 꼬리를 비행에 적합한 용도로 바꿨다. 하지만 이 길고 뻣뻣한 꼬리에는 문제가 있었다. 땅 위를 걸어 다닐 때 장애물이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자들은 전자의 가설을 더 받아들였다. 독 분비선이 오래 전에 먼저진화했다면 뱀의 조상인 도마뱀 무리에서 독을 가진종이 많아야 한다. 하지만 독을 가진 도마뱀은 아메리카독도마뱀과 멕시코구슬도마뱀, 겨우 2종만 알려져있었기 때문이다.2006년 프라이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이 가설을 180도 ...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바이러스와 세포의 진화역사를 하나로 합친 최초의 계통도가 탄생했다.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작물학과의 구스타보 캐타노 아놀레스 교 ... “바이러스가 (세포와 바이러스의 공통조상으로서의) 고대세포에서 유래했으며, 오늘날 세포의 조상과도 공존했다”고 주장했다 ... ...
- #캣스타그램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개도 잡식을 하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고양이와 개는 늑대와 공통조상을 가진 육식동물의 후예이지요. 야생고양이와 야생 개가 삵이나 늑대처럼 보이는 이유입니다.이들은 사람과 친해지는 과정에서 귀여움을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바꿔 말하면 사람이 귀여움을 느낄 만한 종들만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것이다.Q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A 어렸을 때부터 로켓을 좋아했다. 그러다보니 우리 조상이 만든 로켓인 ‘신기전’에 관심을 갖게 됐고, 그 뒤엔 조선시대 화포를 조사했다. 거북선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도 거북선에 실린 화포 때문이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아직도 조선시대의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더 꼼꼼하고, 더 깊이 자료를 분석했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우리는 신대륙인이 하나의 조상에서 기원된 것이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반대쪽에서는 우리보다 그 문제를 적게 고민한 것 같지만 빌러슬레브 교수의 말처럼 원본 자료 간에 상반되는 점은 없다.분자진화학, 고고유전학 등의 분야는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교수는 “호모 하빌리스가 아시아로 확산해 거기에서 호모 에렉투스와 플로레시엔시스 조상으로 분리됐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인류의 아시아 기원설이 탄력을 얻게 되는 셈이다.2. 최초의 도구 사용, 오스트랄로피테쿠스?오랫동안 최초의 호모 속 인류로 꼽히던 종은 호모 하빌리스다. 이에 반해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마치 축포 같았다. 인류 진화를 다룬 새 책 ‘인류의 기원’이 인쇄에 들어간 날, 외신들이 일제히 새로운 초기 호모 속 인류 화석 발견을 요란하게 보 ... 존재였다. 이렇게 마치 탐정처럼, 고인류학자는 작은 뼈 한 조각으로부터 수백만 년 전 우리 조상의 육신과, 삶의 애환을 복원해 낸다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로 씨가 없기 때문이에요. 알고 보면 모두가 한 가족우리가 먹는 바나나의 조상인 야생 바나나는 씨가 있기 때문에 수분과 수정 과정을 거쳐야 열매가 열려요. 하지만 단단한 씨를 갖고 있어서 먹기에 불편하지요.그런데 야생 바나나의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우연히 씨 없는 바나나가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