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한"(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5가지 그림을 찾아라! 거울 퍼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반사되는 방향이 달라져 사물의 모양이 왜곡돼 보인다.반면 평면거울은 물체의 모습을 최대한 실제에 가깝게 보여준다. 거울의 표면이 편평하고 매끄러워서 모든 빛이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면거울은 물체의 크기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왼쪽과 오른쪽이 거울을 중심으로 서로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은 그런 결괏값을 내지 못하게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AI가 공정해지길 바란다면 최대한 공정하게 결괏값을 내게 하면 된다. AI 산출물에는 공정성을 요구할 수 있지만 범주가 다양하다그런데 이 지점부터 문제가 복잡해진다. 우리는 AI의 결괏값이 항상 공정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우리가 AI를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생명체가 번성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최대한 번성하려면 현재 지구 평균보다 5℃가량 높아야 합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약 14℃이므로 20℃ 정도의 행성이 좋은 셈이죠. doi: 10.1089/ast.2019.2161지구의 과거를 들여다보면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지구도 지금보다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3차전을 준비하면서 우리우리스 위원회는 혹시 모를 싸움의 여파가 외부에 영향을 최대한 미치지 않도록 경기장을 초공간 지대에 두도록 했다. 특수 우주선을 통해서 접근하지 않으면 아무도 올 수도, 갈 수도 없는 그곳에서 지구의 고양이와 우리우리스 종족의 가장 강력한 장사가 서로 결투를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소음이나 진동 같은 물리적 자극이다. 박쥐는 겨울잠에 들면 심박수와 호흡수를 최대한 낮춰 산소와 에너지 소비량을 줄인다. 예기치 못한 자극에 의해 깨어나면 갑자기 계획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박쥐가 사람이 많이 드나들고 큰 소음이나 진동이 예상되는 곳에서 ... ...
- [과학동아x긱블] 되네르 케밥 기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부딪히는 소음이 요란하게 나곤 합니다. 그래서 진동을 줄이기 위해 축의 무게중심이 최대한 가운데에 있도록 하고, 기어가 맞물리는 부분에 윤활제를 발랐습니다.축의 나머지 한쪽 끝을 케밥 기계의 꼬챙이와 연결할 차례입니다. 꼬챙이에는 악마의 80:1 비율 기어가 장착됐습니다. 이 기어에 축을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머세드캠퍼스 응용수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황제펭귄은 체온의 손실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 육각형의 성질을 이용합니다. 황제펭귄들은 오른쪽 그림처럼 서로의 몸을 밀착합니다. 육각형은 서로 붙여놓았을 때 변과 변이 맞닿아 있어 빈틈이 없죠. 즉, 황제펭귄 한 마리의 몸은 육각형과 같고, ...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2호가 류구를 안전하게 왕복하고 표면에서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였습니다. 최대한 빨리 관측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분석해서 하야부사 2호의 설계에 반영해야 했지요. 우리 팀은 먼 거리에서 망원경만으로 정보를 얻어야 했기에 정말 애를 많이 먹었는데, 망원경만으로 추정한 류구의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자들은 행렬의 연산 법칙을 이용해 차원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를 최대한 쉽게 만들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강 교수님이 단어별로 말한 횟수(10, 3, 7, 1)와 기자가 언급한 횟수(2, 3, 0, 10)를 그림➋처럼 각각 하나의 벡터로 볼 수 있습니다. 차원 수가 4개이므로 4차원 공간의 좌표로 ...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페예시 토트가 밝혀내기 전까진 말이에요. 벌집이 육각형인 이유는 가장 적은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예요. 벌이 꿀과 먹이를 가득 채워 저장하기에 효율적이죠. 둘레가 서로 같을 때 넓이가 가장 큰 평면도형은 ‘원’이에요. 하지만 원을 여러 개 이어 붙이면 어떨까요? 원과 원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