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양"(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문이다. 실제로 기자가 얼굴의 표면 근전도 신호로 움직이는 전동휠체어(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팀 개발)를 타려고 했을 때, 초기 설정을 하는 데에만 수십 분이 걸렸다.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른 생체신호에 대한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인공지능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지구의 다양한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최지웅 한양대 해양융합과학과 교수는 “예를 들어 바다에서 비가 내리면 물속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생겨 진동하면서 소리를 내는데, 이를 분석하면 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며 “특히 풍속과 파도의 높이, 파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의 성분은 질소 78%, 산소 21%, 이산화탄소 0.03%에 나머지는 수증기와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졌어요. 이에 비해 공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날숨은 질소78%, 산소 16%, 이산화탄소 4%에 나머지는 수증기와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졌지요.이처럼 날숨은 우리가 들이마신 기체에 비해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해마다 4월이 되면 꽃가루가 날린다. 하얀 솜털이나 노란 가루 같은 꽃가루가 공중에 떠다니는 게 눈에 보이기도 한다. 꽃가루가 날아다니는 걸 보면 ‘봄이 왔구나!’ 하고 계절의 변화를 실감하게 된다. 꽃가루를 이용해 사람들은 요리를 하거나, 화석처럼 오래 전 기후를 연구하기도 한다. 물론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식물이 선택한 생존전략 중 하나는 바로 ‘아름다운 꽃 피우기’다. 형형색색 아름다운 꽃들 사이에서 더 크고 아름답거나 향기로운 꽃을 피워 곤충을 불러들이는 것이다.식물 중에서도 가장 진화한 종자식물만이 꽃을 피운다. 소나무와 참나무 같은 겉씨식물의 꽃은 열매와 비슷해서 잘 보이지 않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친구들, 자이로드롭 좋아해요? 그럼 자이로드롭이 바닥에 부딪히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자이로드롭은 높은 곳으로 올라갔다가 자유낙하 하는 놀이기구예요. 자유낙하는 외부에서 가하는 다른 힘 없이도 중력에 끌려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말하지요. 그런데 자이로드롭은 땅에 가까워지면 갑자 ... ...
- 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봄이면 봄마다 찾아오는 황금빛 바다가 있다. 작고 노오란 꽃잎이 수백, 수천만 장이 모여 이루는 ‘유채꽃 바다’다. 유채꽃이 많이 피어 있는 곳은 봄이 되면 꽃만큼이나 많은 벌과 나비들이 찾아온다.이들은 꽃으로부터 꿀을 얻는 대신, 이꽃 저꽃 옮겨 다니면서 수술에 있는 꽃가루를 암술에 묻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잔물결처럼 변해 지구까지 이어졌고, 라이고 관측소가 이를 놓치지 않은 것이다. 이현규 한양대 물리학과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중력파원의 에너지는 우주에서 가장 강하다고 알려진 감마선 폭발 현상에서 나오는 것보다 크다”며 “아마도 인류가 관측한, 빅뱅 이후 우주에서 발생한 가장 격렬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 대한 기록입니다. 한양(서울)의 춘추관, 충주, 성주 지역과 바로 이곳, 전주에 사고를 설치해 실록을 보관했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춘추관, 충주 사고, 성주 사고에 있던 실록은 모두 소실됐고, 오직 전주 사고의 실록만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땅’ 차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논문에는 전혀 없다. 배준우 한양대 응용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100개가 안 되는 큐빗으로도 기존 컴퓨터는 따라잡지 못할 성능의 양자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며 “왜 1000개 이상의 큐빗을 구현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결어긋남 문제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