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궤도"(으)로 총 2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운트다운,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00531
- 2010년 6월 9일 오후 4시 30분에서 6시 40분 사이에 발사될 예정인 나로호의 막바지 준비가 한창이에요. 나로호는 지난 2009년 8월 19일 오후 5시에 발사 예정 시간을 7분 56초 남겨 두고 자동발사 시스템에 오류가 생겨 발사가 중지됐었어요. 일주일 뒤에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올랐지만, 위성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지 않아 목표 궤도 ...
- 깨끗할수록 덜 엄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일석삼조네요! 저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도 달 탐사 경쟁에 뛰어들 수 있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볼 수 있어요. 머지않아 달까지 궤도선이나 착륙선을 보내 달에 있는 헬륨-3 같은 자원을 확보하고 달에 관한 연구도 할 수 있겠죠? 앞으로 저의 활약상을 꼭 지켜봐 주세요 ...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현상에 불과하다. 1970년대에 이 사진을 찍은 바이킹 1호의 사진기는 가로세로 250m의 지역을 점 하나로 인식했다. 하지만 최근 화성 궤도 정찰선이 고해상도 사진기로 다시 찍은 결과 사람의 얼굴과는 전혀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게 밝혀졌다. 사람에게는 특별한 형체가 없는 물체에서 자신이 아는 모양을 찾아내려는 심리가 있다. 마치 구름 속에 ...
- 스트레스 해소법은 아스피린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2호를 싣고 올라갈 KSLV-1은, 높이 33m에 무게가 140톤이나 돼요. 과학기술위성 2호를 164㎞까지 보내는 1단 로켓과, 그 뒤부터 우주 궤도까지 올리는 2단 로켓으로 이루어져 있지요. 1단 로켓은 러시아와 공동개발 중이지만, 2단 로켓과 과학기술위성 2호는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들어 그 의미가 더욱 커요. 내년 초 발사에 성공하면 자국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2)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현상이나 하늘의 다른 물체를 UFO로 오인한다. 비행기나 기구, 새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흔히 인공위성을 UFO로 여기기도 한다. 낮은 궤도에 있는 인공위성의 경우 밝은 불빛이 밤하늘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소제시작]카리닷사의 음모론 총정리[소제끝] 카리닷사는 한숨을 내쉬며 작성 중이던 보고서를 내려놓았다. 조금만 찾아 ...
- 덜컹! 갑자기 비행기 고도가 떨어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현재 항공기는 대부분 대류권과 성층권 아래쪽에서 비행하지요.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인 대류권계면 부근을 나는 셈이죠. 안정궤도에서 순항 중이었다면 성층권 아래쪽을 날고 있었을 겁니다.” “맞아요. 기장님께서 이륙하니 안전벨트를 착용하라고 말씀하신 뒤 구름층을 지났어요. 이 때 대류권을 통과한 거죠. 그리고 얼마 뒤 기장님이 안정된 경로로 이동 ...
- 유럽우주기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비너스 익스프레스 금성의 대기와 구름을 관측하는 것이 주된 임무로, 2005년 11월에 발사되어 5개월을 날아간 끝에 2006년 4월 금성의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금성의 남극 지역을 촬영해 전송한 것을 시작으로, 계속해서 금성의 사진을 지구로 보내 오고 있다. 비너스 익스프레스는 원래 500일 동안 활동할 예정이었으나, 임무 기 ...
- 추천! 달 여행을 떠나는 세 가지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가면 그 어떤 여행보다 고급스럽고 안전한 달 여행이 되지 않을까? 여행TIP 아폴로 11호는 우주선이 발사되어 로켓이 가속되는 시간, 달 궤도에 진입하는 시간, 달에 착륙하는 시간까지 모두 4일이 걸렸다. 우주공간을 날아갈 때의 평균 속도는 총알보다 10배쯤 빠른 시속 3만㎞. 과학과 기술이 점점 발달하고 있으니 앞으로는 달에서 1박 2일을 하 ...
- 나사 50주년 기념, 최고의 명장면 50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아폴로 14호를 타고 달에 착륙해 달에 발을 딛기도 했다. {BIMG_l16}최고령 우주인 존 글렌 1921년에 태어난 존 글렌은 1962년 2월 20일 지구 궤도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미국 우주비행사다. 그는 1998년 77세에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 비행을 해 가장 나이 많은 우주비행사로 기록됐다. {BIMG_l17}미국 최초 여성 우주인 ...
- 찬 바닷물로 적조 뚝!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유기물을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천체예요. 이 사진은 지난 2008년 8월 11일에 토성 궤도탐사선인 카시니가 시속 6만 4000㎞로 엔셀라두스를 근접 비행하면서 찍은 것으로, 호랑이 줄무늬처럼 보이는 좁고 긴 협곡이 잘 드러나 있어요.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땅 속에 있던 따뜻한 수증기가 제트처럼 ...
이전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