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탐방"(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양과 안동에서 역사와 자연 체험하기기사 l20210315
- 단양잔도 등 레저를 즐기기 좋은 곳과 고수동굴, 도담산봉, 석문 등 예전부뒤 자연적인 특색이 뛰어나다 알려진 곳으로 나눠 탐방했습니다. 정도전의 호는 삼봉이었고 도담삼봉을 아껴 정자를 짓고 풍류를 즐겼다합니다. 옆에 산을 올라가면 석문도 볼 수 있습니다. 돌기둥 위에 바위가 얹어져 문처럼 보이는 아치인데 창문처럼 남한강을 내다볼 수 있습디 ...
- 제2회 환경학술포럼에 가다!기사 l20210113
- 많아서 안타까웠어요. 점심 먹고 나서 기프트샵에 들러 연세대 굿즈를 몇 개 구입했어요. 종류가 정말 다양하니까 나중에 학교 탐방할 기회가 있다면 꼭 들러보세요.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책 목차를 보면서 기대했던 세션7(시민과학풀씨)에서는 흥미로운 주제의 발표들이 많았습니다. 오전에 들었던 코로나 심포지엄보다 내용이 ...
- 순천만습지를 다녀와서기사 l20201228
- 갯벌이 있었습니다.저희 아빠,엄마,동생은 게하고 짱뚱어가 보인다는데 저는 안 보였습니다ㅠ저만 안 보이는 걸까요..ㅠ 갈대숲 탐방로를 돌고 집에 갔습니다. 이번에는 순천만습지에 사는 동물을 알아보겠습니다. 1.새 순천만은 하천의 기수역과 옆습지,넓은 갈대밭,갯벌 등 다양한 서식지가 있는 습지입니다.239종의 새가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됬답니다. 세 ...
- 2020 bioblitz 수업기사 l20200926
- 야생동물의 연구와 관찰에 도움을 주고 아름다움이 주는 미적 가치가 있기에 멧돼지가 나쁜동물만이 아니라는 것이에요. 고라니는 탐방로에 흔적을 남기고 많이가는 곳에는 풀이 없고 좁은길이 있다. 포유류엔 야생호랑이도 있지만 야생호랑이는 없고, 흔적제보는 많지만 야생호랑이는 멸종으로 보입니다. 박쥐 박쥐는 코로나 때문에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박쥐는 좋은 ...
- 공지합니다포스팅 l20200805
- 안녕하세요. 이봄입니다. 요즘 제가 바빠서 기사를 올리질 못했어요.제가 오늘 공지드릴 것은 새로운 기삿거리를 써 보기 위해서입니다.저는 지금까지 탐방기나 영화 등을 올렸었는데요. 이제는 한번 게임이나 고생물학 강좌, 게임 리뷰,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 등을 올려보려고요.아, 탐방기나 영화 등의 기사는 계속해서 올릴 예정입니다.지금까 ...
- (Secret Garden) -창덕궁 후원 탐방기-기사 l20200805
- 것 같아요!! 그리고 다른 궁들은 좀 인간이 만든 느낌이 드는데, 창덕궁의 후원은 자연적이더라고요!! 어쨌든 이렇게 창덕궁 후원 탐방기를 마치게 되었습니다!! 가시기 전에 추천과 댓글 한번씩 부탁드리고요!!! 지금까지 최동욱 기자였습니다. 글을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부산 만덕레고마을 탐방기!기사 l20200517
- 안녕하세요,이경환 기자입니다. 오늘은 부산 만덕동에 위치한 만덕레고마을에 다녀온 후기를 쓸려고 합니다.여러분이 생각하는 블록 레고가 아닌 다닥다닥 붙어있고 알록달록한 집의 모습이 꼭 레고로 만든 집같다 하여 레고마을입니다. 이 레고마을은 가까이에서 보면 그냥 주택가처럼 보여 가까이에서 보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이 전경이 다 들어온 사진은 어디서 ...
- 난대림 완도 수목원 소개 (봄 편)기사 l20200510
- 완도 수목원에는 산림전시관, 산림박물관, 특산품 판매점도 있고 사계정원, 난대림 탐방로, 전망대도 있어요. 제가 소개한 장소는 수목원 전체의 3분의 1도 안 돼요. 그래서 제가 여러 편으로 나눈 것입니다. 그럼 다음엔 ‘난대림 완도 수목원 소개 (여름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코로나 사태가 ...
- [지사탐 탐사기] 날아라 제비기사 l20200504
- 탐사를 하던 중 여러 마리의 제비를 만났으나 둥지에 앉아 있는 곳은 보지 못해서 다음주에 다시 방문해서 찾아 볼 예정입니다. 탐방을 끝내고 돌아 와서 오늘 관찰한 제비집과 까치집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좌측은 나뭇가지를 이용해서 만든 까치집이고, 우측은 진흙으로 만든 제비 집입니다. 까치는 나무 위에 살기 때문에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
- 블루마블 - 200411 - 1탐사기록 l20200411
- 4월11일 오후 4시경 개나리를 관찰한 결과 창원의 개나리는 사진처럼 거의 시들어 있었다. 오늘의 날씨는 비도 약간내렸다.창원 지역은 3월초쯤 개나리가 피기시작하고 3월 말쯤 거의 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목격하기 어렵다.탐방중에 민들레나 유채꽃등 많은 야생화들을 목격할수 있었다.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