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뉴스
"
경로
"(으)로 총 2,174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되면 체중 감량 더욱 어려워지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체중 증가와 관련된 대사 장애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RaIA
경로
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면 비만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배출되는 뇌척수액의 양보다 1.8배 많았다. 비인두 림프관망이 뇌척수액 배출의 주요
경로
라는 의미다. 비인두 림프관망은 노화에 따라 퇴화했다. 그러나 비인두 림프관망과 연결된 목 림프관은 노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에 목 림프관을 둘러싼 근육세포인 평활근세포를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깨지기 시작했다. 인간에 의해 케냐에 처음으로 상륙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경로
는 알려지지 않았다. 큰머리 개미들은 개미알을 먹어치우는 등 토종 아카시아 개미들을 공격했다. 토종 개미가 새로운 개미에 밀려 자취를 감추면서 휘파람가시나무는 코끼리에 대항할 방어 수단을 잃게 됐고 그 ... ...
인공위성 '빛 공해'에 자구책 마련 나선 천문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노출을 끄고 깨끗한 밤하늘을 골라 관측하는 방식이다. 최진 연구원은 "위성의
경로
나 활동 시간대는 공개돼있기 때문에 이 시간대를 피해 망원경을 작동시킨다면 비교적 깨끗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체 관측 데이터에서 인공위성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데이터만 ... ...
[과기원NOW] GIST, 대한통증기전연구회 동계워크숍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2024 대한통증기전연구회 동계 워크숍에 모인 참가자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의생명공학과 주관으로 11~12일 이틀간 ‘대한통증기전연구회 ...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GIST에 개소했다. 통증, 감각신경 이상을 포함한 신경전달
경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 ...
암 완치 방해하는 ‘세포 간 이질성’ 극복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데이터에 Density-PINNs를 적용해 신호 전달 체계가 단일
경로
로 이뤄질 때(직렬)보다 여러
경로
로 이뤄질 때(병렬) 세포 간 이질성이 적다는 점을 알아냈다. 조현태 IBS 선임연구원(제1저자)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신호 전달 체계가 병렬 구조일 경우 극단적인 신호가 서로 상쇄돼 세포 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의 주인에게서 얻은 유전자를 바탕으로 이들의 이주
경로
를 재구성했다. 이와 함게 얌나야족의 유전자와 현대 유럽인의 유전자를 비교해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유전자 변이가 언제 등장했는지 살폈다. 현대인의 유전자 정보는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43만3395명의 ... ...
고대인 유골서 자가 면역질환·당뇨 치료 단서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청동기 시대에 이들은 영토를 확장해 유럽에서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했다. 그들의 이동
경로
에서 마주쳤던 농부들이 전멸된 흔적이 발견된다. 오늘날 북유럽인 조상 대부분은 얌나야족으로 추정되며 남쪽으로 갈수록 초기 수렵·채집인의 유전자가 많이 남아있다. ● 얌나야족 ‘다발성 ... ...
뇌 속 노폐물 배출 지도 완성…치매 등 뇌질환 연구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모이는 일종의 '허브' 역할을 하며 림프관망과 목 림프관, 목 림프절로 이어지는
경로
를 따라 배출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실험용 생쥐의 척수액에 형광물질을 소량 주입했다. 형광물질을 주입한 1시간 뒤 생쥐의 두뇌를 과찰한 결과 뇌척수액은 목 안쪽 점막 내에 있는 정교한 림프관망으로 ... ...
1년 생존 어려운 ‘미분화 갑상선암’ 새 치료 전략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영양공급을 막으면 항암제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글루타민 분해
경로
를 막아도 미분화 갑상선암 세포는 여전히 살아남았다.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연구팀은 미분화 갑상선암이 ‘단일탄소 대사 메커니즘’을 활용해 생존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 연구팀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