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동
공동 작업
협력
뉴스
"
공동 작용
"(으)로 총 1,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중에서도 스스로 손상 복원하는 '전자 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양대는 김도환 교수와 영우빈 KAIST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수중 환경에서도 물리적 손상과 촉각을 스스로 복원하는 ... 자가 치유 능력을 보였다. 탄소-불소기와 이온 사이의 이온-쌍극자 상호
작용
을 통한 수중에서의 우수한 촉각 기능도 확인됐다. 연구를 이끈 김 교수는 ... ...
멍게에서 추출한 항암 치료제 원리 찾았다…"암세포 DNA 복구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연구팀이 샤나 스털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카리브해에 사는 멍게 엑티나시디아 터비나타(학명 Ecteinascidia turbinata)에서 최초로 추출된 항암 물질인 '트라벡테딘'이 항암
작용
을 하는 메커니즘을 알아내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수 없다는 지적이다. 에린 소페 영국 옥스퍼드대 지구과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9200종 이상의 화석 29만개를 분석해 생물종의 멸종에 영향을 미칠 ...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다른 멸종 동인과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해수에 이산화탄소가 ... ...
수돗물 미세플라스틱, 끓이면 90%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광저우 의대와 지난대
공동
연구팀은 수돗물을 끓였을 때 나노 크기의 미세 플라스틱 대부분이 ... 에 지난달 17일 공개했다. 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서 내분비교란물질로
작용
해 인간의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
사람에게 꼬리 없는 이유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그로스만 의대와 랑곤헬스
공동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꼬리 퇴화에 영향을 미친 유전자를 확인하고 ... 때문에 Alu 삽입은 인간과 유인원의 꼬리가 사라지도록 만드는 이점으로
작용
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다른 신체에는 해롭게
작용
했을 가능성도 있다. ... ...
사람마다 아픔 강도 다른 이유, 뇌와 유전자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인지과학연구그룹 선임연구원과 코사카 히로타카 일본 후쿠이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뇌 영상과 타액(침) 분석을 통해 통증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통증처럼 여러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
작용
으로 결정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유전자형과 뇌 활동량으로 비교적 ... ...
비전AI·우주재료·수리…KAIST, 선후배 협업 ‘초세대 협업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AI 모델이 인간의 복잡한 계획 및 추론 능력을 재현하고 인간과 상호
작용
이 가능한 수준의 범용인공지능(AGI)을 실체화하는 것이 목표다. 우주 ... 있다. 김 책임교수의 우주 환경 모사 장비, 초고속 충돌 장비 등의
공동
활용 및 연구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세대 복합재 생산공정을 연구하고 ... ...
발달장애·지적장애 일으키는 새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교수 연구팀, 미국 하버드대 의학과 연구팀을 포함한 9개국 45개 기관이
공동
연구를 통해 ZFX 유전자가 뇌신경계 발달에 필요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작용
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27일 밝혔다. 전사인자란 DNA의 특정 부위에 결합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 ...
알츠하이머 발병, 자살률도 높인다....심각해지는 대기오염의 그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홍콩 중문대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공동
연구팀은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발표한 논문을 ... 악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먼지 입자가 몸속으로 들어와 뇌의 화학
작용
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일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자들은 ... ...
차세대 반도체 솔리톤 안정화 기술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IBS) 복잡계 이론물리 연구단(PCS-IBS) 연구원, 박문집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뒤틀림 자성체를 이용해 위상적 솔리톤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 기술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솔리톤은 특정한 구조가 주변과 상호
작용
을 통해 사라지지 않고 계속 유지하는 현상이다. 위상적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