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294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과학기술인상에 이건재…면발광 마이크로LED 마스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LED) 전사기술로 ‘피부 밀착형 면발광 마스크’를 개발한 이건재 KAIST 신소재
공학
과 석좌교수가 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월 수상자로 이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 ...
암세포 발생 순간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분자스위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스위치’를 발견했다. KAIST는 조광현 바이오및뇌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정상세포에서 암세포로 변화하는 순간의 임계 전이(critical transition) 현상을 포착하고 분석해 암가역화 분자스위치를 발굴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임계 전이는 물이 섭씨 10 ... ...
미국서 돼지 신장 이식 임상시험 공식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의미다. 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미국 생명
공학
기업 유나이티드테라퓨틱스코퍼레이션(UTC)과 이제네시스가 진행하는 유전자 변형 돼지 장기의 신부전 환자 이식 임상시험을 승인했다. UTC는 6명의 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시작해 50명까지 늘려 ... ...
[과기원NOW] '꿈의 전자기파' 테라헤르츠파 이론적 고안·검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DGIST)은 박경준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과 교수가 한국통신학회(KICS)와 전기전자
공학
자협회(IEEE)가 공동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 및 네트워크 저널(JCN)’의 무선통신 분과 편집위원장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JCN은 ICT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로 4개 분과에 60여 명의 편집위원으로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설립 40주년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4일 대전 본원에서 설립 40주년 기념식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생명연 제공. ■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4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설립 제4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1985년 설립된 생명연은 국내 바이오 분야 대표기관으로 지난 40년간 초소형 핵산분해효소 활용 유전자가위기술 개발, 항암 유전자 ... ...
우주선 엔진 '홀추력기' AI로 성능 예측…11월 누리호에 실려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시스템' 올해 7권 3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연구 1저자로 박재홍 KAIST 원자력및양자
공학
과 박사과정생이 참여했다. -https://doi.org/10.1002/aisy.20240055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복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교수와 김석우·김주훈·김경태·정민수 기계
공학
과 석박통합과정생 연구팀이 평면광학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방법을 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기존 광학 기술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렌즈나 거울로 빛의 ... ...
항암제 조합·투여 농도 예측 AI 개발…"정밀 암치료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남호정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별 항암제 조합과 투여 농도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AI 복합 항암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브리핑스 인 바이오인포매틱스’에 지난달 12일 온라인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600km…두꺼운 고성능 배터리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자료> - doi.org/10.1039/D4EE04106B 왼쪽 아래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김규상 UNIST 에너지화학
공학
과 연구원, 정경민 교수, 오혜성 연구원, 방지윤 연구원, 김산 연구원. UNIST ... ...
[미리보는 노벨상]① 인류 최대 도전 '기후위기', MOF가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25.02.01
오마르 야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교수와 기타가와 스스무 일본 교토대
공학
대학원 교수가 있습니다. 야기 교수는 처음으로 MOF의 개념을 정립하고 설계 원리를 체계화한 인물로 이 분야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학자입니다. 그의 연구는 MOF라는 단순한 다공성 물질에서 벗어나 원하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