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배터리 에너지
밀도
극대화하는 3차원 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전했다. 송규진 선임연구원은 "배터리 경량화와 고에너지
밀도
를 동시에 달성한 구조체가 미래 배터리 기술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국내 연구진, 양자점 레이저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양자점 레이저의 생산성을 높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양자점 제조 기술은 양자점의
밀도
가 높고 매우 균일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제조 비용을 6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연구팀은 본 성과를 더욱 고도화해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높이고 국내 광통신 기업에 ... ...
中, 꿈의 '상온 초전도체' 찾는 연구시설 본격 가동
2024.05.05
알 수 있다. SECUF의 자석은 미국 국립 고자기장연구소(NHMFL)에 있는 45테슬라(T·자속
밀도
의 단위)의 부분 초전도 자석이나 프랑스 국립강도자기장연구소의 37T 저항성 자석처럼 작동에 많은 전력이 필요한 자석들보다 약한 26T의 자기장을 만들어 낸다. 저우 연구원은 "SECUF의 자석은 훨씬 적은 ... ...
미래 화성 거주 인류 위한 최적 농사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공기 중 질소(N)를 식물이 영양분으로 쓸 수 있도록 돕는다. 박테리아는 산성도와
밀도
가 높은 화성 토양에서는 잘 기능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사이짓기를 통해 모래에서 수확량이 늘었다는 결과는 지구 농업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 화성 식민지가 완전히 자급자족할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멈추게 된다. 그런데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는 맛이 좋아 먹으라는 신호가 센데다 영양
밀도
도 높아 그만 먹으라는 신호가 우세해졌을 때는 이미 칼로리 균형이 무너진 상태라는 이론으로 꽤 그럴 듯 하다. 그런데 몇몇 동물실험이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은 위의 가설과 다른 결과를 내놓았다. ... ...
니켈·코발트 없이 에너지
밀도
40% 높인 리튬이온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1
것이다. 이는 리튬이온전지 양극 중 세계 최고 수준인 상용 삼원계 양극 대비 에너지
밀도
가 40% 향상된 수준이다. 서 교수는 “상용화를 위해 풀어야 할 문제들이 아직 남아있지만 중국 의존도가 높은 니켈, 코발트 광물이 필요 없는 차세대 양극 개발 시 자원 무기화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 ...
이산화탄소 먹는 콘크리트…연간 50만톤 탄소 감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전환돼 콘크리트 내부에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탄산염광물이 콘크리트 미세조직
밀도
를 높여 일반 콘크리트보다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산화탄소 저장소일 뿐 아니라 콘크리트 성능 향상, 시멘트 사용량 감소 등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CEC는 ... ...
"배터리, 더이상 일회용품 아냐…소듐·전고체·리튬황 배터리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높다. 멍 교수는 "본인이 주도한 앞선 연구에선 리튬황배터리가 상당히 높은 에너지
밀도
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입증했다"며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황배터리로 작동하는 드론을 운영하는 등 이미 시장 진출 가능성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멍 교수는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성을 확보한 ... ...
인공근육·고성능 반도체 소재 개발 미래소재 연구단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피드백 패치 소재 기술 개발 연구가 지원받는다. 이밖에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에너지
밀도
무변형 층상구조 양극소재, 의수 소프트 로봇 정밀 제어용 소재 등이 개발된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래소재 연구단은 성공하면 한 분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되는 ... ...
‘질소’ 담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 이차전지 음극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실리콘은 리튬이온전지의 기존 음극 소재인 흑연보다 에너지
밀도
가 약 10배 이상 높다. 그러나 지속적인 충·방전 시 부피가 3~4배 팽창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리콘 입자가 쉽게 부서져 전지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도 있어 단독으로 음극재에 활용할 수 없었다. 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