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카피
사본
재생
재현
복원
재생산
뉴스
"
복제
"(으)로 총 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실었다. 플라스미드는 세균이 자기 염색체 외에 추가적으로 갖고 있는 물질로 스스로
복제
할 수 있어 세균끼리 유전자 전달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면 특정 DNA를 체내에 주입하는 DNA 백신을 만들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가능한 얘기지만 지금까지 이것으로 탁월한 예방 효과를 내는 백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농부들은 식물체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씨감자로 이듬해 농사를 지었다. 일종의
복제
본이므로 매년 같은 특성의 감자를 수확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체세포돌연변이가 축적되면서 이형접합성이 갈수록 커져 현대 육종학자들조차 씨앗으로 재배할 수 있는 감자 육종에 번번이 실패해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
연합뉴스
l
2021.08.18
바이러스는 코안에서 초기
복제
단계를 거쳤다. 비말이든 접촉이든 본격적인 바이러스
복제
는 모두 폐에서 이뤄졌다. 하지만 폐의 손상 정도는 접촉보다 비말 감염에서 훨씬 더 심했다. 또 비말 감염은 접촉 감염보다 확실히 더 효율적으로 이뤄졌다. 이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비말이 ... ...
뿌리고 삼키고 들이쉬고…주사기 안쓰는 '민첩한' 코로나 백신·치료제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가 개발한 '몰누피라비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RNA에 들어가 바이러스가
복제
되는 과정에 오류를 일으켜 사멸시키는 원리다. 증상이 가벼운 환자가 하루 두 번 다섯 알씩 먹는 것만으로도 크게 호전되는 효과가 있다. 현재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르면 9~10월 FDA에서 긴급 사용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콧속 섬모세포에서
복제
·증식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2021.07.28
발현함을 알 수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비강 섬모상피세포만을 표적 삼아
복제
한 후 세포 사멸과 바이러스 전파를 일으키는 병리기전 모식도(B). IBS 제공 .이번 연구성과는 코로나19 감염의 시발점이 비강 내 상피세포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비강 내 백신 투여를 통한 비강 내 점막면역 형성이 ... ...
코로나19 재확산은 이미 예고됐다...미 과학자 "변이 추적 늑장 대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30킬로베이스(kb)로 염기 3만 개가 연결돼 있어 한 번
복제
할 때마다 평균 3번꼴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한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다른 RNA 바이러스와 비슷한 속도"라며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와도 큰 차이가 없다"고 했다. 지금 이 시간에도 ... ...
국내 연구팀,렘데시비르보다 200배 효과 좋은 코로나 치료제 후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9 치료제 개발과정. KAIST 제공 연구팀은 개발한 약물 스크리닝 기술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
와 증식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와 RNA 중합효소를 저해할 수 있는 후보 화합물을 각각 15종과 23종 골라냈다. 그런 다음 이 후보군들을 대상으로 파스퇴르연 생물안전 3등급(BSL-3) ... ...
한 달 만에 3%→51.7%…델타 변이 미국 지배종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가장 최적화돼 있다”며 “이는 곧 숙주 세포에 더 잘 침투할 수 있고, 자신을 더 잘
복제
해 다른 변이보다 숙주를 더 쉽게 공격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전파력이 강하다는 점 외에 델타 변이의 임상적 특성에 관해 확인된 내용은 많지 않다.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진은 지난달 14일 ... ...
코로나 'T세포 백신' 나올까? 변이 저항 '항원결정기' 다수 발견
연합뉴스
l
2021.07.06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 이런 에피토프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바이러스는 감염과
복제
, 나아가 생존 자체를 위협받는다. 그래서 고도 네트워크화 에피토프는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mutationally constrained)' 영역으로 꼽힌다. 바이러스의 고도 네트워크화 에피토프는 또 서로 같거나 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치료부터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건보 재정에 큰 부담이 됐나 보다. 이러다가 특허가 풀려
복제
약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할지도 모르겠다. 참고로 OECD 경제 규모 상위 10개국 가운데 우리나라만 1차 치료 적용이 안 된다. 항체치료제 시대의 혜택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누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