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03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동맥류 수술에 뇌혈관 입체영상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기술로 환자 개인의 뇌혈관을 입체 영상으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3D 영상을
볼
수 있는 장치를 착용하면 뇌혈관의 3D 모델링이 실제 수술 현장에 겹쳐 보이는 방식으로 ‘혼합현실 3D 홀로그래피 기술’이다. 3D 기술의 편의성은 즉각 체감됐다. 윤 교수는 “뇌동맥류 코일색전 수술 시 ... ...
인류, 고양이도 길들이다? …"인간도 스스로 가축화?"
과학동아
l
2024.11.16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된바 있다. (doi: 10.1016/j.cub.2024.02.071) 한편으론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고인류학자인 이상희 미국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1월 2일 유튜브 채널 '보다'와의 인터뷰에서 인간의 자기가축화에 대해 아래와 같은 의견을 남긴 적 있다. "문제는 그 입장에서 기본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시조새와 현대 새의 중간, 조류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6
상태가 우수했다. 연구팀은 골격에 붙어 있는 두개골과 뇌를 재구성한 결과 시조새에서
볼
수 있는 원시 조류의 특징과 현대 조류의 특징을 모두 확인했다. 원시 조류와 같이 운동과 균형 감각에 관여하는 소뇌의 크기는 작았으며 고차원적 인지 기능을 수행하는 대뇌는 약간 큰 편에 속했다. ... ...
[동물do감] 로마에 가면 로마법 따르는 박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실험에서 확인한 증거다. 연구팀은 "새들에게 정확히 어디서 정보를 얻었는지 물어
볼
수는 없지만 새들이 새로운 사회 집단에 들어온 순간부터 다른 새들을 매우 면밀히 관찰했다는 것을 시사하는 놀라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자연에서 동물은 종종 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이동한다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요즘 과학자들 장점? 버르장머리 없는 거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최 책임연구원의 주니어 과학자와의 소통에 대한 생각은 행사에서 보다 자세히 들어
볼
수 있다. 행사명 : 사이언스 얼라이브 2024 주제 : Reload Communications, for Success 일시 : 2024년 12월 12일 장소 : 서울 연세대 신촌캠퍼스IBS관 주최 : 동아사이언스 주관 :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방사선 피폭 예방법 찾았다…특수고글·앱 이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안전관리의 핵심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방사선 검출기, 방사선 분출 여부를
볼
수 있는 휴대폰 앱과 특수 고글, 방사선 검출기가 포착한 방사선의 공간 분포도·강약 정도·방사성 물질과의 거리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방사선 검출기와 영상처리용 컴퓨터,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연구 기관인 필립 J. 커리 공룡 박물관의 운영을 가능하게 했다. 화석은 지구의 과거를
볼
수 있는 유일한 열쇠다. 화석이 가질 수 있는 미적, 경제적인 다양한 가치가 있겠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화석만이 보여줄 수 있는 과학적 가치가 아닐까. 취재를 마무리하면서 뱀포스 큐레이터에게 ... ...
한국인 비만 기준 'BMI 25 → 27 이상'으로 바꿔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우선시하고 사망 자료를 보조적으로 고려해 설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번 결과를 종합해
볼
때 BMI 진단기준을 27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선미건강보험연구원 건강관리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비만 기준과 관련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최대 규모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게놈이 기존에 알려진 벼 게놈 범위 내에 들어간다면 3500년 전 유입된 벼의 후손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그 범위를 벗어나면 그보다 훨씬 전부터 한반도에 자생한 벼의 후손일 가능성이 크다. 1만 5000년 전 한반도에서 벼농사를 지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유력한 증거인 셈이다. ● 벼농사의 다중 ... ...
이론한계보다 '먹성' 40배 좋은 초기 우주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있다"고 묘사하며 "이번 블랙홀 발견으로 우리가 초기 우주에서 매우 무거운 블랙홀을
볼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방법 중 하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블랙홀 이론에 따르면 별이나 가스 구름의 붕괴로 생긴 작은 블랙홀 '씨앗'이 초대질량 블랙홀로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