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뉴스
"
선임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임
연구위원 권선순 김병곤 박재현 박흥석 옥치열 윤덕근 이두한 이종석 △
선임
기술위원 안순 ...
독성 유기용매 걸러주는 차세대 나노여과 분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과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은 유영민 화학공정연구본부
선임
연구원 연구팀이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강한 고분자인 폴리벤즈이미다졸(PBI)이라는 소재를 이용해 고성능·고내구성 유기용매 나노여과 분리막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 ...
中, 역대 가장 상세한 달 표면 지질지도 공개
2024.04.28
유형이 표시돼 있다. 지질지도집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한 류젠중 CAS 지구화학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창어 1호의 카메라는 달의 지형과 지질 구조를 관찰했고 간섭 영상 분광기는 다양한 암석 유형을 식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2013년과 2019년에 각각 '창어 3호'와 '창어 4호' ... ...
원숭이 실험으로 식욕 조절 원리 증명…새 비만 유전자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책임연구원, 조지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재용 한국원자력의학원
선임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이 영장류 실험을 통해 식욕조절 원리를 발견하고 이를 이용한 비만 조절 유전자 치료 기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최 교수는 국내 대표적인 비만 연구자다. 연구팀은 ... ...
인공근육·고성능 반도체 소재 개발 미래소재 연구단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2개씩 선정돼 이중 한팀이 2년 뒤 살아남아 계속 투자를 받는다. 정호상 한국재료연구원
선임
연구원의 재생의료 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기여하는 동결보존 소재 개발과 이준민 POSTEC 교수의 폐 조직 재생용 진단-치료 피드백 패치 소재 기술 개발 연구가 지원받는다. 이밖에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 ...
'피부에 착' 땀으로 질병 모니터링 장치…"아기·노인도 쓸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곳에 약물 전달률을 높여 회복 속도를 높이는 데도 응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주희
선임
연구원은 "땀 모니터링 장치 개발에서 기존의 땀 유도 방식의 한계를 해결했을 뿐 아니라 임상 연구에도 성공했다"며 "성인을 포함한 대규모 임상 연구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 ...
중성자 영상 검사, 원자로 없이 가속기로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검사를 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정봉기 핵물리응용연구부
선임
연구원 연구팀이 전북 정읍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에서 운영 중인 가속기 30메가전자볼트(MeV) 사이클로트론을 활용해 중성자 영상검사 장치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산업 ... ...
최철진 재료연 원장 취임…"국민들, 소재 중요성 알게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재료연) 제7대 원장에 최철진 박사가
선임
됐다. 재료연 제공 최철진 한국재료연구원(재료연) 제7대 원장이 22일 취임했다. 임기는 22일부터 2027년 4월 21일까지로 총기간은 3년이다. 1961년생인 최 원장은 1979년 마산고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1984년 금속공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1986년 ... ...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 취임…"핵융합로 R&D로 연구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임기는 22일부터 3년간이다. 핵융합연은 핵융합연 컨퍼런스홀에서 제2대 원장으로
선임
된 오영국 원장 취임식을 했다고 22일 밝혔다. 오 원장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1989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원자핵공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5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입사한 오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중독을 일으키는 자극적 행위에 쉽게 빠져들 수 있다. 해당 연구를 함께 살펴본 김주현
선임
연구원은 "비록 동물 실험 결과지만 특징적인 뇌 회로의 발달이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며 "유튜브 콘텐츠를 계속 보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해롭다는 것을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