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14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바다에 녹여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연구를 통해 효율이 향상되고 규모가 훨씬 큰 장치를 개발한다면 대기로부터 많은
양
의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16/j.jcou.2024.10291 ... ...
키다리 나무일수록 메탄 더 흡수한다
과학동아
l
2024.09.17
생성 미생물이 메탄을 뿜지만 땅에서 멀리 떨어진 높은 부분에서는 나무껍질 속 메탄영
양
미생물이 메탄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는 나무가 자라나 나무껍질의 면적이 넓어지면 나무의 메탄 흡수량이 배출량을 넘어서 메탄을 더 많이 제거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연구팀은 나무껍질 면적 추정치와 ... ...
달달한 명절 음식 많이 먹으면 우울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7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조리법을 알아봤다. 2019년 미국 켄자스대 연구에 따르면 서
양
과 동
양
을 막론하고 명절 음식에 흔히 함유된 첨가당은 우울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단 음식이 우울한 기분을 덜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기존 통념과 상반된 연구다. 연구팀에 따르면 첨가당은 체내에서 우울한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자연계에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설계됐다. 예를 들어 자연계의 물질들은
양
의 굴절률을 가지지만 메타물질은 음의 굴절률 또는 거의 0에 가까운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빛이 물체 주위를 돌아 지나가도록 해서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다. 다만 메타물질은 제작이 ... ...
점점 줄어드는 헌혈량…인공혈액, 인류에 '새로운 피' 수혈할까
과학동아
l
2024.09.15
반면 체외에서는 인공적으로 체내 환경을 모사해야 하기 때문에 혈액세포를 완벽하게 배
양
하기 매우 어렵다"며 "이는 줄기세포와 관련된 기술에서 극복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인공혈액 특징 비교. 과학동아 제공 ● 한국도 2023년 개발 뛰어들어 유도만능줄기세포에 주목 한국 ... ...
우주인이 먹는 음식 중 빵이 금지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4
재배하는 게 숙제"라고 설명했습니다. ISS에서 우주인들이 미생물 배
양
슬라이드로 배
양
중인 미생물. NASA 제공 ● 미생물이 음식이 된다고?! 미생물로도 우주 음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아주 작은 생물인 미생물은 수가 많고 밝혀지지 않은 점도 많아요. 특정 미생물은 척박한 ... ...
'레이저로 꽁꽁' 현대
양
자이론 증명할 반물질 얼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3
PET)에 쓰이는
양
전자(positron)는 전자와 질량 등 성질이 모두 같고 전하만 반대다. 이때
양
전자나 반전자를 전자의 '반물질(antimatter)'이라고 한다. - doi.org/10.1038/s41586-024-07912- ... ...
항암제 안 통하는 흑색종,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생합성 증가를 유발한다는 점도 밝혔다. 증가한 폴리아민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양
을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높였다. 이는 항암제에 내성을 지닌 암세포 증식으로 이어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과정이 흑색종 항암제 내성 발생의 핵심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에 ... ...
바닷물이 전기가 된다…해수기반 자가충전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필름을 각각
양
극과 음극으로 사용한다. 바닷물을 전해질로 활용한다. 전해질 내의
양
이온들이 상대적으로 표면 이온 활성도가 높은 음극 쪽에 더 많이 모여들게 되고 두 전극 사이의 이온 재배열로 전기 에너지 차이가 생성되는 원리를 사용한다. 기존 물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경우 에너지 ... ...
"제조업 메카 美 남동부 한국 중기 지원 총괄 거점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기술협력 센터 명칭은 ‘KAMTIC(KITECH-AUBURN UNIVERSITY Manufacturing Technology Innovation Center)’이다.
양
기관은 제조AI, 자율제조 등의 첨단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실용화 기술을 현지 기업 현장에 이식해 제조혁신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이 원장은 "우선 생기원 연구자 중 전문가를 선발해 어번대에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