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뉴스
"
자재
"(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갈륨에 충전재를 혼합하면 밀가루 반죽처럼 꾸덕꾸덕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모양을 자유
자재
로 바꾸거나 면도칼로 쉽게 자를 수도 있어 액체 상태의 갈륨보다 가공이 쉬워진다. 연구팀은 혼합하는 충전재를 바꿔가며 어떤 물리적 성질이 나타나는지 확인했다. 먼저 A4 크기의 종이에 액체 갈륨과 ... ...
머리카락만큼 가는 모세혈관 속 누비는 초소형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가는 지름 100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m)의 구불구불한 모세혈관을 자유
자재
로 돌아다니는 로봇이 개발됐다. 복잡한 뇌 속 모세혈관과 연관된 신경장애를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흐무트 셀만사카르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기계공학연구소 교수팀은 혈류를 ... ...
[랩큐멘터리]구룡포 바다밑 누비며 정밀해도 작성한 극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연구실이 2016년 개발한 자율 수중로봇 ‘사이클롭스’는 포항 구룡포 앞바다를 자유
자재
로 돌아다니며 바다 지형을 5cm 단위로 구분할 수 있는 정밀한 해저 지도를 만들어냈다. 물속은 전파가 통하지 않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도 무용지물인 공간이다. 인간은 달의 표면까지 정밀한 망원경으로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활용한다. 전극과 전해질, 전극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여서 생산에도 유리하고 자유
자재
로 늘리거나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 1저자인 유인상 포스텍 박사후연구원은 “이 전자피부가 온도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원리는 실제 인간 피부가 촉각을 인지하는 원리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 ...
독성 금 화합물 먹고 순금 알갱이 내놓는 '박테리아 연금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결과를 처음 공개하며 “달이나 화성에 인류가 거주할 기지를 건설할 때 지구에서 원
자재
를 가져갈 필요 없이 행성에서 박테리아가 만든 희토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박테리아가 무중력에서도 희토류 생산" 최근 박테리아를 이용해 철, 금 같은 금속을 추출하는 ... ...
단백질 접는 '스위치'로 다양한 나노 건축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한겹 더 감싼 이중벽 튜브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중나선의 간격을 자유
자재
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했다. 연구팀은 “우리 몸 속 세포물질을 그대로 이용하되 자연 설계를 넘어선 나노건축물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새로운 바이오 나노기술의 특이점이 될 선도적 연구”라며 ... ...
K팝·K방역 훨씬 앞서 최초의 'K모델' 만든 과학자 최형섭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70년대에는 전세계 개도국의 과학기술 발전 모델로 한국의 KIST 모델과 ‘자국의 자원과 원
자재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는 인도의 모델이 대립했다. 둘은 각각 나름의 성공을 거뒀는데, 1970년대 중반 이후 인도네시아와 요르단, 태국 등 KIST 같은 연구소를 설립하거나 자문을 구한 국가가 많아지면서 ... ...
케냐판 KAIST에 한국형 녹색건축 인증 적용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과학기술연구원(V-KIST)에 이은 G-SEED 해외진출 두 번째 사례”라며 “국내 친환경 건축
자재
, 건축물 설계 등 녹색건축 분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발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유전공학 효모를 통해 신약도 생산할 수 있을 겁니다.” 크리스퍼는 원하는 DNA를 자유
자재
로 끊어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는 차세대 ‘유전자가위’다. 크리스퍼를 최초로 개발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화학과 교수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크리스퍼의 미래 ... ...
원통에 넣고 돌리면 짠하고 약물이 나와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0.01
연구위원은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합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들을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다”며 “용매 층 사이 작용을 조절해 기존에 추출이 어려웠던 화합물까지 추출할 수 있어 활용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