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절단"(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작용 걱정 없는 유전자가위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2018.08.08
- 같은 연구기관 테라그노시스연구단 장미희 선임연구원팀과 공동으로 유전자 절단 효소인 ‘Cas9’ 단백질을 개량, 유전체 서열 선택성을 부여하는 ‘sgRNA’와 자가 조립이 가능하도록 만드는데 성공했다 고 8일 밝혔다. 생체 조직 내의 표적과 작용하기 용이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될 ... ...
- 200년만에 환생한 프랑켄슈타인...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07.30
- 앞으로 풀어야 할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는 ‘위치’다. 현재는 팔이 팔꿈치 위쪽에서 절단된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 팔꿈치 윗부분은 팔꿈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신호와 손가락을 움직이는 신호가 섞여 있어 원하는 특정 신호만 가려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팔의 잘린 부분에 있는 신경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더위탈출! 강력한 물총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07.16
- 왜 물로 물체를 자르는 걸까요? 톱날을 이용하면 톱날과 물체 사이에 마찰열이 생겨 절단면이 파손될 수 있어요. 하지만 워터제트는 물이 물체를 자른 뒤 바로 냉각시키기 때문에 파손을 막을 수 있지요. 따라서 워터제트는 열에 민감한 재료를 자를 때 유용하게 사용한답니다. ● 실험 하나 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mm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제공 연구자들은 5년 전 패혈증으로 조직이 괴사해 왼팔을 절단한 남성의 남아있는 팔죽지에 환상 손 지도를 작성했다. 1990년대 초 라마찬드라 박사가 얻은 지도와 비슷하다. 그리고 이 부분을 다양한 진동수와 펄스폭(pulse width)의 전류로 자극해 환상 손에서 단순 ... ...
-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성 자폐증 누그러뜨린다동아사이언스 l2018.06.26
- 증식하면서 가이드 RNA와 결합하지 않은 캐스9 단백질이 따로 발현돼 무작위로 유전자를 절단할 위험이 있다. 이 교수는 “바이러스를 쓰면 통제할 수 없는 크리스퍼 캐스9이 생긴다”며 “크리스퍼 골드 기술은 이런 위험을 차단한다”고 말했다. 크리스퍼 골드가 바이러스의 도움없이 뇌로 ...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2018.06.12
-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해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로봇이나 크레인 등으로 원격에서 절단부터 운반, 처리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서부장은 “논의 수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핵시설 해체를 완료하려면 이미 로봇 해체까지 진행중인 프랑스와 한국,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이 협력해야 할 ...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06.11
- 두께가 10cm인 스테인리스 금속을 자르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것을 ‘실감형 원격 절단 시뮬레이터’와 결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실감형 원격 시뮬레이터는 오염된 부위를 정확하게 자르고 담는 훈련을 도와주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다. 궁극적으로 조종실에 있는 로봇팔을 움직여 현장에 있는 ... ...
- 정확도 1만 배! 합성 물질로 성능 개선한 유전자가위 ‘크리스퍼’동아사이언스 l2018.04.26
- 이뤄져 있다. 가이드 RNA의 일부를 가교 핵산(BNA)으로 치환하면, 표적 DNA에 대한 절단 능력은 유지되면서도 다른 유사 DNA는 자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번 연구로 확인했다. -사진 제공 서울대 연구팀은 "크리스퍼 기술이 실제 유전병 환자 치료에 활용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 ...
-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03.20
- 분자 구조를 설계했다. 이 소재는 기존 소재보다 기계적 강도가 2배 이상 컸다. 절단 후 붙이면 2시간 만에 달라붙어 원래 강도를 80% 이상 회복했고, 6시간 뒤에는 완전히 회복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보호필름이나 자동차 도장 등 다양한 분야에 이 소재가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doi:10 ... ...
- [단독] 보호구 없이 실험하던 KAIST 학생, 플라스크 터져 안면부 부상…실험실 사고 76%는 ‘안전 불감증’ 탓동아사이언스 l2018.02.26
- 234건 중 88%(206건)는 대학에서 발생했다. 2012년부터 최근 6년간 발생한 중대사고(신체부위 절단, 안구 손상, 화상 등) 5건도 모두 대학에서였다. 그동안 연구자보험(5000만 원 이내 실비 보상) 가입 의무화, 안전교육 확대, 안전시설 구축 등의 개선이 이뤄졌지만 아직까지는 역부족인 셈이다.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