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린터"(으)로 총 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과학동아 l2018.07.31
- 앞으로는 재질과 모양이 다양해질 전망이다.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연구팀은 3D 프린터와 실리콘을 사용해 진짜 심장처럼 부드럽게 뛰는 인공심장을 만들어냈다. 무게가 390g이고 부피가 679m³인 이 인공심장은 인간의 심장과 마찬가지로 우심실과 좌심실을 가진다. 연구팀은 두 심실에 공기를 ... ...
- 아디다스가 했다는 4D 프린팅, 과학동아도 도전해 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07.20
- 집을 짓는다면 어마어마한 크기의 프린터가 필요하다. 여기에 4D 프린팅을 접목하면, 3D 프린터로 집을 부분별로 인쇄한 뒤 이를 키워서 서로 연결해 집을 완성할 수 있다. 훨씬 효율적인 동시에 현실적이다. 형상기억의 원리를 이용해 작게 구긴 소재를 로켓에 실어 쏘아올린 뒤 우주 공간에서 펼치면 ... ...
- ‘액체 금속 전자회로’ 개발… 접을 수 있는 기판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8
- 많다. 전자섬유의 대안으로 액체 금속인 갈륨 혼합물을 이용, 미세한 회로를 전용 프린터로 찍어내는 ‘프린팅’이나 ‘패터닝’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갈륨 혼합물은 액체가 방울지려는 성질인 표면장력이 커 수십 ㎛ 이하 아주 가느다란 선폭의 전자회로를 만들기는 어려웠다 ... ...
- 서은경 창의재단 이사장 “과학문화산업으로 창업·일자리 확대”동아사이언스 l2018.07.17
- 메이커 문화 확산 사업을 사례로 꼽았다. 메이커 문화는 오픈소스 SW나 3차원(3D) 프린터 등의 도구를 활용해 다양한 물건 등을 스스로 창작하는 문화다. 창의재단은 지난 정부부터 창조경제 사업의 일환으로 메이커 사업을 추진해 왔다. 서 이사장은 “메이커 문화의 뿌리는 전국 곳곳의 ... ...
- 지름 1.2m 티타늄 인공위성 부품, 3D 프린터로 만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7.16
- 2년에서 3개월 수준으로 줄였다고 밝혔다. 릭 앰브로즈 록히드마틴 우주부문 부사장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대형 부품 생산은 인공위성 생산 속도는 2배로 빠르게 하고, 비용은 절반으로 줄이려는 우리의 노력을 잘 보여준다"라며 "이 부품은 우주항공 기술의 디자인과 생산 기술 변모의 일환"이라고 ... ...
- 프린터가 고장 난 줄 알았는데팝뉴스 l2018.07.06
- 프린터가 고장 났다고 생각했다. 출력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이 넣는 곳을 열어보니 프린터가 아니라 사람이 고장(?)났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한 미국인이 올린 사진을 보면 문제가 무엇인지 누구나 알 수 있다. 포장지를 뜯지 않고 인쇄용지를 넣었던 것이다. “인턴 직원의 실수”라고 ...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2018.07.05
- 만드는 스마트한 나노-마이크로 로봇 리준양 홍콩성시대 기계및의공학과 연구원팀은 3D 프린터로 구멍이 많고 속이 비어 있으며 표면 곳곳에 뿔이 난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축구공 모양 초미세 입체 구조를 만들었다. 비록 관절을 움직이는 등 세부 동작은 할 수 없지만, 금속 코팅 덕분에 외부에서 ... ...
-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2
- 등 의학적 활용이 기대된다. 리쥔양 홍콩성시대 기계 및 의공학과 연구원팀은 3D 프린터로 구멍이 많고 속이 비어 있으며 표면 곳곳에 뿔이 난 축구공 모양의 초미세 입체 구조를 만들었다. 먼저 가루 형태의 재료를 놓고 레이저를 원하는 부위에 쪼여 그 부분만 굳게 하는 방식으로 지름이 0.07~0.0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금속물질을 쌓아 재구성하는 구성은 이미 현실화 단계에 있는데, 이미 보편화 된 3D프린터 정도가 아닐까. 만약 기술이 극단으로 발전한다면, 트랜스포머들이 새로운 모습으로 바꾸기 위해 특수한 변신장치 속에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식으로 연출하는 경우엔 과학적 개연성이 조금 더 높아진다 볼 ... ...
- “메시지 읽으면 스르륵” 저절로 녹아 사라지는 반도체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8.06.21
- 빵(도) 부분을 제거하면 위에 얹은 토핑이 뿔뿔이 흩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기판의 밀도와 두께를 조절해 트랜지스터가 분해되는 시점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 공동책임자인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사용자 의도에 따라 분해 시점을 조절할 수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