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구
뉴스
"
항만
"(으)로 총 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신종코로나 방역지휘부 업무조정…치료제 개발 착수
연합뉴스
l
2020.02.07
약물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실험 검사를 진행했다"면서 "선정된 약물들을 국경, 비행장,
항만
을 비롯한 입국 지점들에 시급히 보내주기 위한 대책들을 기동성 있게 따라 세웠다"고 덧붙였다. 이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역시 평양의학대학병원에서 주민들에게 안내하는 위생수칙, ... ...
북한 갈탄 활용해 수소경제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북한과 러시아에 매장된 저렴한 갈탄을 이용해 현지에서 수소 생산 후 액화시켜 부산
항만
으로 옮겨온 뒤 국내에서 활용하거나 해외로 수출하는 것”으로, “미래 수소생산 공급 주도권을 확보하고 북한의 자원을 이용해 에너지 인프라를 갖추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 ...
해양과기원 전호군 연구원 아시아해양학회 우수논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말했다. 아시아해양학회는 한국해양
항만
학회와 중국 및 일본 항해학회가 국가별 항법과
항만
연구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다. 2002년 중국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 ...
[대한민국 산업기술 100장면] 근대~1950년대 일제 강점기와 전후 시련 극복한 과학기술의 맹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박사를 전세계에 알렸다. 일제 강점기 식민지화를 위한 철도와 도로, 교량, 댐,
항만
건설은 주로 일본인이 추진했다. 이 중 한강신인도교 설계를 조선인 최경렬 토목기술자가 맡았다. 한국 최초 종합 과학 잡지 ‘과학조선’의 김용관 창간인과 조선인의 힘으로 세운 ‘대동공업전문학교’도 10 ... ...
한국이 제안한 수중통신 기술표준 국제표준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대응하거나 해양 생물자원 및 수중생태계를 모니터링해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수중과
항만
보안에도 쓰이는 등 여러 영역에 활용될 수 있다. 표준안은 2020년부터 발간된다. 수중통신 분야 국제표준은 총 6건으로 한국이 모두 주도해 승인받았다. 한국은 2018년 수중통신 분야 4건 국제표준(ISO/IEC 30140 ... ...
"기술만 보지말고 시장을 보라" 실험실 창업에 선배들의 조언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있다. 박 대표는 “울산은 화학공업단지라 한국 1위, 세계 4위의 위험화물을 다루는
항만
”이라며 “여기서 인증을 거치자 좋은 반응을 얻었고 최근엔 해외에서 문의도 많다”고 말했다. 기술창업에 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탈 '블루포인트파트너스'의 이용관 대표는 기술창업의 장점을 이른 ... ...
“방사선 감시기 없는 무역항서 日 어패류 1만2000t 수입”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갑각류가
항만
을 통과하면 식약처가 샘플을 채취해 방사능 검사를 하지만 음식물은
항만
통과 전 방사선 감시기 검사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
방사능 고철 감시망 뚫렸다…18건 중 16건 원안위 감시시스템 뚫고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감시기를 운영하고 있는 공항과
항만
을 통해 들어왔다. 원안위는 전국 주요 공항과
항만
에 방사선 감시기 122개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방사능 오염이 확인된 16건 중 6건은 핵분열 반응이 있을 때만 검출되는 세슘(Cs)-137도 검출됐다. 이 물질은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서도 검출된 물질이다. ... ...
오염된 식물사료·강물로도 확산…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비행기로 들여온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들어간 음식물이 버려지면서 공항이나
항만
근처에서 처음 발병한 사례가 많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유럽을 1960년대와 2010년대 이후 두 번 휩쓸었다. 유입 경로는 선박과 비행기였다. 1957년 포르투갈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파된 경로는 비행기 ... ...
생존력 강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이번에는 한국 덮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공항에서 적발되기도 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퍼진 다른 나라 사례를 보면 공항이나
항만
을 통해 유입된 돼지고기를 먹고 남은 잔반이 다시 돼지에게 사료로 쓰이면서 감염된 경우가 많다. 이번에 한국으로 유입된 구체적인 전파 경로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이번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