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조
위조품
모조품
위조
속임수
위조물
이미테이션
스페셜
"
가짜
"(으)로 총 2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사이트도 있다(구글에서 ‘universal placebos’를 검색해보라). 저자는 이처럼 대놓고
가짜
라는 걸 알린 경우를 ‘정직한 위약’이라고 불렀다. 지난해 12월 학술지 ‘통증(Pain)’에는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직한 위약 임상 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포르투갈의 연구자들은 석 달 이상 통증을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
2017.10.14
사람이다’라고 한다고 해서 이 말을 진심으로 믿기는 어렵다. 진심으로 믿을 수 없는
가짜
이야기를 반복할수록 되려 ‘아닌데. 너 하나도 사랑받을만하지 않는데. 사실 너 별론데’ 같은 반박이 속에서 올라오고 결국은 ‘역시 나는 부족한 사람이야’라며 우울한 결론을 내리게 된다는 것이다.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2017.05.13
단정짓고 만다.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타인의 사랑까지
가짜
라고 평가절하하게 만드는 것이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듯 사람들 사이에는 거대한 강이 있어서 상대가 귤을 던졌는데 내가 그걸 탱자로 받으면 결과는 탱자인 것이다. 이렇게 우리에게는 굴러들어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공을 굴려 5분 안에 가운데 원 안에 놓으면 설탕물을 먹을 수 있게 훈련했다. 처음에는
가짜
벌(끝에 벌 무늬를 그린 이쑤시개처럼 생긴 막대)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보여줬다. 이렇게 48시간 동안 학습을 마친 아홉 마리를 대상으로 실전에 들어갔다. 그 결과 아홉 마리 모두 성공했고 횟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발현 패턴을 수치화해 세포 튜링 테스트의 점수를 매겼다. 즉 진짜 동료를 넣어준 경우와
가짜
동료를 넣어준 경우 유전자 107개에서 발현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진짜 동료를 넣어준 경우와 기능이 없는 인공세포를 넣어준 경우는 175개에서 차이가 보였다. 즉 발현의 관점에서 신호에 반응해 신호를 ... ...
[지뇽뇽의 色수다] (ep7) 여성이라면 솔직하게 당당하게
2017.01.08
가짜
약)’ 조건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옥시토신 호르몬이 아닌
가짜
약을 코에 뿌린 여성들도 성기능, 성적 만족도, 성적 흥미가 30~40% 향상되고 불편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옥시토신 자체의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
2016.11.09
집단이 사회 문제 등으로 대두될 경우, 자신들이 한심하게 바라보고 배척하던 외집단(
가짜
신자들 또는 비신자들)으로부터 ‘박해’를 받는다는 인식이 생겨서 더 내집단을 공고히 밀집시키고(극단주의 UP) 공격성이 높아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렇게 종교가 단순한 사회적 활동 ... ...
사이언스가 선정한 최고의 명약은 ‘신뢰받는 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통증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카프축 교수는 “진짜 약이든
가짜
약이든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가 의료진을 신뢰하는 자세”라고 말했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7개의 손가락을 가진 쥐 손의 모습이 등장했다. 다지증에 걸린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
2016.11.01
몸부림 중 하나가 미신의 발명이라는 것이다. GIB 제공 마음이 편해지는 것 외에, 이런
가짜
설명의 쓸모는 뭘까? 연구들에 의하면 이런 미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통제 불가능한 상황에 대해 자신이 어떻게 해 볼 수 있다는 자신감을 더 크게 보인다고 한다. 근거 없는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꿀벌집을 찾은 경우는 진짜 신호가 54.2%인 반면(즉 새의 안내를 받을 경우 81%에서 성공)
가짜
신호일 때는 둘 다 16.7%에 불과했다. 즉 꿀잡이새는 사람에게서 사냥을 하자는 진짜 신호를 들었을 때 더 많이 반응을 했을 뿐 아니라 제대로 반응을, 즉 길안내를 한 것이다. 그렇다면 야오족과 하드자족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