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간
하루
날
일일
일일간
날씨
일기
스페셜
"
낮
"(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인간은 어떻게 잠의 세계로 이끌릴까
2020.02.11
아침형 인간이 된다고 덧붙였다. ‘놀 땐 놀고 공부할 땐 공부하자’는 말이 있듯이
낮
에 왕성하게 활동하고 저녁에 차분하게 하루를 정리해야 밤에 쉽게 잠들 수 있다는 말이다. 피로의 지표인 아데노신 축적, 수면을 촉진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 등 수면을 유도하는 여러 신호가 같은 시간대에 ... ...
신종 코로나, 여름에는 사라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중국 다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많은 편인 싱가포르와 태국은 현재
낮
기온이 30도 안팎일 정도로 덥다. 11일 12시 기준 감염자 수는 싱가포르 45명, 태국 32명이다. 전문가들은 일년내내 기온과 습도가 비슷한 더운 지역에서는 바이러스가 계절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 ...
북한, 신종코로나 방역지휘부 업무조정…치료제 개발 착수
연합뉴스
l
2020.02.07
소식이 전해진 첫 시기부터 과학자들은 비루스의 유전자 배열 순서를 확정하기 위해
낮
과 밤을 잊고 연구에 몰두했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또 "현존 약물들 가운데서 전염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약물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실험 검사를 진행했다"면서 "선정된 약물들을 ... ...
석박사 730명·논문 2100편 성과 홍보하던 '국제공동연구센터' 문 닫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연구재단 "신 총장 부정 지원 논란과 관련 없어" 밝혀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이 5일
낮
서울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기초연구 확대와 연구윤리지원센터 운영 등의 계획을 소개하고 있다. 이날 질의응답에서는 국제공동연구센터(GRDC) 사업의 종료 계획도 공개됐다. 윤신영 기자 ... ...
"서울·인천·제주, 중화권 다음으로 신종 코로나 위험 높은 지역" 美 연구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0.01.28
함께 공동 2위로 나타났다. 다만 중국 본토 및 홍콩 등의 주요 도시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
다. 노스이스턴대 제공 가드너 교수팀은 마찬가지 방식으로 항공 승객의 유입량을 바탕으로 전세계 공항 3267개의 위험도를 평가했다. 분석 결과 홍콩과 태국 방콕의 두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카페익산은 다시 페닐인단으로 바뀐다. 즉 다크로스팅 원두는 클로로겐산 함량이
낮
고 페닐인단 함량이 높다. ‘신경과학의 경계’ 제공 “카페인 없는 커피는 매력 없는 여성과 같다.” 지난 2012년 필자는 카페인 함량이 6% 수준인 커피나무 개발 현황을 소개한 글을 쓰면서 브라질 작가 아모로수 ... ...
"AI에게 우주환경 학습시켰더니 천체 관측시간 확줄고 희미했던 별 뚜렷"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밤에 촬영한 적외선(IR) 영상을 활용에
낮
에 보는 것과 똑같은 영상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낮
에 촬영하는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학습시켜 밤에 촬영한 적외선 영상에서도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듯한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문 교수는 “밤에는 구할 수 없는 데이터를 AI가 만들어내는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
2019.11.09
것이다. '실내 작업 가설'이라고 한다. 정반대로 눈은
낮
에 자라고 밤에는 성장을 쉬는데,
낮
밤이 따로 없는 환경이 눈을 쉬지 못하게 한다는 가설도 있다. 근시는 우등생 안경 썼다고 우등생은 분명 아니지만, 상당수의 우등생은 안경을 쓰는 것 같다. 오랜 과거 시험의 전통이 있는 한국 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뭔가 불편하다’고 느끼게 되는 것 아닐까. 반면 파란빛의 비율이
낮
은 노란 불빛은 SCN을 덜 자극해 밤이 깊어질수록 점점 더 아늑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일상생활에서 관찰되는 사소한 변덕까지 수십 억 년 지구 자전의 역사에 맞춰 진화한 생체시계의 입김이 작용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실제 에디슨은 하루 4~5시간만 잤다고 한다. 그런데 그가 이렇게 자고도(물론 잠깐
낮
잠을 자는 것으로 보충을 했지만) 평생 왕성한 발명 활동을 했다는 건 하루 4~5시간 수면이면 충분한 유전형을 지녔기 때문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적정 수면시간의 개인차가 꽤 크다는 사실을 몰랐을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