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스페셜
"
논리
"(으)로 총 252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항목이 나왔는데 이를 ‘옳음’으로 처리했다면(교과서에 그렇게 나와 있다는
논리
로) 난리가 났을 것이다(2006년 8월 명왕성이 행성에서 퇴출되면서 태양계 행성은 8개가 됐다). 지난 주말 신문 북섹션에 ‘지식의 반감기’라는 책이 소개됐다. 반감기란 동위원소의 절반이 붕괴되는데 걸리는 ... ...
좁지만 넓은 시냅스틈의 비밀, 신경전달물질
IBS
l
2014.09.03
실제로는 시간을 잘게 쪼개어 여러 작업을 교대로 진행할 뿐이다. 이러한 방식은 엄밀한
논리
체계를 수학적으로 풀어내는 데는 유용하지만 대규모 병렬 연산이 필요한 난수 생성이나 이미지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연산을 담당하는 코어를 여럿 두어 다중 병렬 처리가 가능해졌다고는 하지만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먹는 문화권에서는 이미 자연선택으로 불내증인 유전형은 솎아졌다는 말이다. 이
논리
를 적용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글루텐 민감성이 10%라면 이해가 가지만, 예전부터 밀 문화권이었던 곳에서도 마찬가지로 10%라는 건 이상하지 않은가. ●글루텐 프리의 함정 미국의 과학월간지 ... ...
[MATH] 천재일우(千載一遇)와 확률
KISTI
l
2014.06.05
수학보다 경험적이었다. 서양의 수학은 이성을 바탕으로 하여 추론과 연역에 의한
논리
전개 위주였다면, 동양은 실생활에서 경험으로 얻어지는 사실을 바탕으로 수학을 일반화하였다. 확률도 예외는 아니어서 서양에서는 확률을 수학적으로 엄밀히 정리하고자 노력하였다. 동양에서는 특별히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해도 36개 돌고래 수족관이 있던 영국에서는 그 수가 줄어 1993년 자취를 감췄다. 경제
논리
가 많은 부분을 결정하는 개발 도상국에서도 이 같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헝가리ㆍ슬로베이나는 수족관에서 고래류 사육을 금지했고, 인도는 지난해 돌고래 수족관의 추가 건립을 제한했다. 하지만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연구자들은 2013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들이 모두 호모 에렉투스이며 같은
논리
로 호모 하빌리스나 호모 루돌펜시스도 호모 에렉투스의 변이형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 사이언스 제공 두개골 형태를 분석한 스위스 취리히대 마르시아 폰체 드 레온은 “드마니시 화석이 ... ...
[채널A] 日 ‘만능세포’ 조작 논란…‘일본판 황우석’ 사태로 번지나
채널A
l
2014.03.12
[전화인터뷰 :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 네이처에서 논문을 심사할 때 독창성,
논리
성 등을 보지만 재현성 여부를 확인하기는 좀 어렵습니다. 소속기관인 이화학연구소의 발표가 있을 때까지 기다려봐야 합니다. 조사결과는 오는 금요일 발표될 예정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
KISTI
l
2013.12.19
700MHz대 주파수를 디지털 방송용으로 할당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특히 양측의
논리
가 충돌하는 지점은 ‘공익성’이다. 방송 측은 주파수가 공공재인 만큼 자신들이 활용해야 더 국민편익을 보장한다고 주장한다. TV 같은 뉴미디어는 훨씬 고도의 영상압축 기술이 필요하기에 반드시 여유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더 커졌다. JDZ가 동중국해에 있고 중국과도 연결되어 있어 중국이 한국과 동일한
논리
로 영해권을 주장하면 반박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JDZ의 지질학적 특성이 한반도와 중국 대륙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도 중요한 관심사다. 현재 한중일 3국이 유엔 대륙붕한계위원회에 소명자료를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불가사의한 책 ‘괴델, 에셔, 바흐’의 저자로 더 유명하다. 불완전성의 정리로 유명한
논리
학자 괴델과 펜로즈 계단을 묘사한 석판화 ‘올라가기와 내려가기’로 유명한 판화가 에셔, 그리고 음악의 아버지 바흐를 기묘하게 엮어 이야기를 전개해가는 이 책은 출간 이듬해 퓰리처상(논픽션 부문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