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스페셜
"
분리
"(으)로 총 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요동치는 세계 파운드리 시장 경쟁…인텔·삼성전자 결단은
연합뉴스
l
2021.07.25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2008년 AMD가 반도체 생산 사업을
분리
하면서 설립된 회사로 태생부터 AMD와 관련이 깊다. 미국 증권가에선 인수 자금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다. WSJ 조사에 따르면 인텔의 현금성 자산은 238억달러(약 27조4천억원)로 글로벌파운드리 예상 ... ...
[동영상] 제프 베이조스 첫 우주여행 주요장면 모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지구 고도 최대 약 107km에 도달했다. 발사 3분 30초부터 뉴셰퍼드에 실린 유인 캡슐이
분리
되기 시작했다. 이날은 1969년 인류 최초로 미국의 유인 달탐사선 아폴로11호가 달 표면에 착륙한 날과 같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자세히보기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8123 ■ 발사 주요장면 ... ...
노인 우울증,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이어지는 연결고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반면 후방부의 기능적 연결이 감소됐다. 연구팀은 “디폴트모드 네트워크 전·후방
분리
현상은 우울군에서 더 심하게 관찰됐다”며 “이 현상이 심해지면 네트워크 연결 간격이 이전상태로의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알츠하이머병 치매가 가속화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베타 ... ...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뭐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107km까지 올랐다. 반면 비행기 모양의 VSS 유니티는 모선에 매달려 고도 13.6km 상공에서
분리
된 다음 고도 88.5km까지 날아올랐다. 최고 상승 고도가 각각 달라 어떤 것이 진정한 우주비행이냐를 놓고 논란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뉴 셰퍼드는 약 10분 전후의 짧은 여행을 진행하는 반면 VSS 유니티는 ... ...
제프 베이조스 지구에서 가장 먼 곳을 본 기업가됐다...지구 상공 107km 우주여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약 86km 상공에서 우주를 체험했다면 뉴셰퍼드는 고도 100km까지 올라간 뒤 유인 캡슐이
분리
되는 방식이다. 버진갤럭틱에는 조종사가 있다면 블루오리진의 뉴셰퍼드에는 조종사가 없다. 우주여행 경쟁을 현실화한 이들이 도달한 고도도 다르다. 브랜슨 회장은 약 86km 상공에서, 베이조스는 약 100km ... ...
베이조스 탑승한 블루오리진 우주여행 로켓 '뉴셰퍼드'는 어떤 로켓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엔진을 분사하고 이후 100km 고도까지 솟아오르도록 설계됐다. 이때 승객용 6인용 캡슐이
분리
된다. 캡슐이 지구로 돌아오는 동안 속 탑승자는 자유낙하를 경험하게 된다. 돔 모양으로 사방이 유리로 돼 있어 어느 각도에서나 우주를 보기 좋게 설계됐다. 로켓은 추진력을 이용해 시속 8km 속도로 수직 ... ...
11분간 짧은 우주여행, 무중력 3분 체험하며 지구 내려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중력의 3배를 몸으로 느끼게 된다. 3분이 지나면 고도 76km 지점에서 캡슐이 발사체에서
분리
된다. 탑승자들이 무중력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이때 탑승자들은 벨트를 풀고 무중력을 만끽하게 된다. 가로 107cm, 세로 71cm의 창을 통해 지구와 우주의 아름다운 광경을 목격하는 시간이다. 이후 ... ...
베이조스가 탑승할 뉴 셰퍼드엔 우주발사체 중 가장 안전한 탈출장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발사대와 지구 대기, 우주에서 비상 탈출 시스템을 시험했다. 우주공간에서 캡슐이
분리
될 경우에는 캡슐에서 자체 부스터를 이용해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와 귀환하게 된다. 레이 수석책임자는 "뉴 셰퍼드에 마련된 탑승 캡슐은 지금까지 설계된 것들 중 가장 안전한 우주 비행 시스템"이라며 ... ...
광범위한 코로나19 변이와 싸우는 ‘슈퍼 항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소재 바이오기업 비르바이오테크놀로지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들에게서
분리
한 12종의 항체를 분석했다.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 수용체에 결합하는 데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달라붙어 감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항체치료제는 이처럼 인간 수용체 결합 ... ...
[과기원은 지금] KAIST·평택시·삼성전자, 반도체 인력 양성 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은 정보통신융합전공 임성훈 교수팀이 복잡하고 다양한 이미지에서 영상의 환경 정보를
분리
·변환하는 인공지능 신경망 모듈을 개발해 인공지능 분야 국제학술지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지난달 2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신경망 모듈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