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스페셜
"
이상
"(으)로 총 5,7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양식하는 주요 해조류 34종을 대상으로 잠재력을 평가했는데 한편으로는 너무
이상
적인 비전이 아닐까 생각되면서도 달리 생각하면 ‘왜 빨리 실행하지 않나?’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놀라운 측면도 있다. 주요 해조류 34종 가운데 하나라도 자랄 수 있는 바다(feasible)와 양식이 가능한(suitable) 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결과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내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사람이 내가 생각하는
이상
으로 나를 좋아해주고 있다고 하니, 그런 나 역시 꽤 괜찮은 사람인 게 아닐까. 서로를 높이는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 보자. Fletcher, G. J. O., & Kerr, P. S. G. (2010). Through the eyes of love: Reality and illusion in intimate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모든 기업이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허용기준
이상
의 2-CE가 검출된 라면은 인체에 유해해서가 아니라 법을 지키지 않은 ‘불량식품’이기 때문에 유통이 금지된 것이다. 대만의 고속도로에서는 반드시 대만의 제한속도를 지켜야만 한다.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창립하여 과학적 사고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19세기에 피르호(Rudolf Virchow)는 세포의
이상
이 병을 일으킨다고 주장했고, 코흐(Robert Koch)는 세균이 감염병의 원인이라 주장하면서 이를 증명할 수 있는 4원칙을 정립했다. 이 둘의 업적에 의해 세포병리학과 세균학이 크게 발전했다. 의학이 한층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어가는 아마존 산림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벌채로 허허벌판이 된 브라질 아마존 산림의 모습을 27일 표지로 실었다. 아마존 산림은 인간 활동의 결과로 빠르게 ... “산림 파괴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생물다양성 손실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더
이상
의 산림 파괴를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을 뛰어넘는 단백질 합성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의문을 제기하고 유전질환을 치료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3분의 1
이상
의 유전질환과 상당수의 암은 정지코돈이 너무 빨리 나타나는 돌연변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안)에는 칼륨이 10배나 더 많고 인체의 전체 세포 부피가 혈장/세포외기질 부피보다 두 배
이상
큰 결과다. 놀랍게도 동물뿐 아니라 식물, 심지어 바다에 사는 미생물조차 세포질에는 칼륨이 나트륨보다 훨씬 많다. 그렇다면 나트륨보다 칼륨이 생물에게는 더 중요한 원소가 아닐까. 실제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대규모 핀란드인 유전자 분석...질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1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등록된 22만4737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1900개
이상
의 질환을 대상으로 관련이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 나섰다. 분석 결과 681개의 서로 다른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1838개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질환을 일으킬 잠재적 위험이 있는 유전자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배경을 설정하는 시라고 봤다. 이번 연구를 담은 논문은
이상
문학회가 발행하는 '
이상
리뷰' 18호에 지난달 30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준영 건국대 수의과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각막 재건을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의 점착성 실란트’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문·이과 구분 교육의 정체조차 파악을 못하면서 외치는 어설픈 ‘짝퉁 통합’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겉으로는 ‘통합’을 외치면서 돌아서서는 뜬금없이 ‘맞춤형’을 외치는 ‘고교 학점제’를 시행하겠다는 고집도 버려야 한다. 맞춤형을 핑계로 과도한 편식을 허용하는 반(反)교육적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