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
과학동아
l
200107
겨울철 태양에 더 가까이 접근하고 여름철에 태양으로부터 더 멀어진다(물론 남반구라면
반대
다). 올해 지구가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는 때는 7월 4일 22시경이다. 이때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는 1.0166AU(1AU는 1억5천만km)로서 평균에 비해 약 1.7% 더 멀어진다. 반면 올해 지구와 태양이 가장 ...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07
것일까. 강유전체는 전하가 자발적으로 분리돼 존재하며, 외부 자극에 의해 전하가
반대
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로 정의된다. 전하 형태로 데이터를 많이 저장할 수 있는 물질이라 생각하면 된다.1921년 베라섹이 로셀염이라는 강유전체를 발견한 이후 현재까지 10여개의 강유전체 물질이 선보였다. ... ...
1. 가물치 크기의 슈퍼미꾸라지 해양식량난 대안, '프랑켄피쉬' 비판도
과학동아
l
200107
한다.이에 대해 일부 생명공학자는 엄격한 연구규제가 미칠 경제적 손실 등을 이유로
반대
하고 있다. 현재는 이에 대한 다양한 공청회와 토론이 진행중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나라도 유전자변형 동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있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국내의 보호장치만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07
방향의 왼쪽으로 작용합니다(그림3) 요약가속운동하는 탈 것 안에서 물체에는 가속도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힘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속운동하는 탈 것을 기준으로 볼 때 관성력이 작용한다고 간주한다. 원심력이나 전향력은 관성력의 부분집합으로 볼 수 ... ...
러브록의 '가이아'
과학동아
l
200107
정
반대
경우러브록은 이 책에서 자신의 가이아 이론은 갈릴레이가 경험했던 것과는 정
반대
의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한다. 갈릴레이는 신학적 견해를 뒤엎음으로써 종교 집단으로부터 박해를 받았던 반면, 자신의 가이아 이론은 과학자 집단으로부터 부당한 비판과 견제를 받고 있다고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07
사실을 알았다.마찬가지로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인해 북극성 주위 별은 매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1°씩 더 회전한다. 따라서 문제(3)의 정답은 북두칠성이 1°×90일=90°만큼 더 돌아간 B다. 문제(4)의 정답은 물론 A가 된다. 즉 북두칠성은 지난 1년, 3백65일 동안 북극성 주위를 3백66바퀴 회전한 것이다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07
위로 10cm 정도의 물층이 빠르게 흐른다. 즉 파도는 고정돼 있고 물이 이동하는 것이다. 정
반대
는 통한다고 했던가. 인공 파도타기의 빠른 물살은 보드에 몸을 실은 사람이 중력에 의해 언덕에서 내려가려는 것을 방해한다.누가 이처럼 멋진 생각을 해냈을까. 미국 캘리포니아의 변호사이면서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북극을 가리킨다.대신 기원전 2500년 경 밤하늘에는 같은 거리만큼 북극을 사이에 두고
반대
편에서 북극 둘레를 돌던 별이 있었다. 바로 큰곰자리의 미자르와 작은곰자리의 코차브란 별이다. 미자르는 큰 국자의 손잡이에 해당하는 별이고, 코차브는 작은 국자의 사발에 위치하는 별이다. 정확히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07
쉽게 사라진다.늘 실험을 직접 하기 때문에 실험복을 입고 있지만 그 이외의 것은 정
반대
다. 대학원생들도 자랑할 만큼 수려한 외모에 유머있는 말투, 자상한 면은 동료들에게도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과 동료인 김경태 교수도“조교수는 상당히 유머가 있어요. 종종 긴장된 분위기를 ... ...
뜨거운 지구가 펭귄을 죽였다
과학동아
l
200106
감소할 때 늘어났다. 특히 암컷보다 수컷의 사망률이 더 크게 나타났다.한편 사망률과는
반대
로 황제펭귄은 겨울 바다 빙산이 확장될 때 알을 더 적게 부화했다. 이 사실은 황제펭귄이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다는 점을 알려준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