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BMI·사람이 선택하면 로봇이 대신 행동하는 기술)나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정 교수는 매년 10월의 마지막 토요일,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소도시의 도서관에 가서 과학강연을 기부하는 ‘10월의 하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했으니 올해로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프린팅 방식만 바꾸면 완전히 새로운 성질을 가진 소재가 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일명 ‘꼬불이’는 직선이 아닌 꼬불꼬불한 선의 형태로 프린팅한 소재다. 직선일 때와 분명 재료는 같은데도 복원력, 복원 속도, 복원 정도 등에서는 ‘꼬불이’가 월등히 앞선다. 문 센터장은 “4D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첫 번째 질문]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우리 몸은 하루에 세포를 몇 개나 잃어버릴까요? 1만 개? 10만 개? 정답은 훨씬 더 큰 숫자입니다. 24시간동안 ...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저 가입했다는 사실 하나만 믿고 동아리에서 시키는 것만 했습니다.B는 평소 신소재 개발에 관심이 많아 역사 속에서 발견된 소재들을 합성하는 실험을 해 보자고 제안해 직접 예비실험을 준비하고 이와 관련한 발표도 준비했습니다. 또 동아리에서 수행한 실험을 다듬어 주변의 지역아동센터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크기의 물체를 집는 등의 미세한 조작이 가능해지지요. “단장님, 그런데 이 기술은 왜 개발하시는 건가요?”설명을 듣던 나상민 친구의 질문에 유범재 단장님이 답하셨어요. “저희는 실제처럼 소통하고, 놀고, 일 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만들고 있어요. 이를 통해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추천해 준다. 건축가는 그중에서 가장 좋은 설계안을 선택하면 된다. 스트라우토 개발을 주도한 김치경 단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자유로운 모양의 초고층건물을 설계할 때, 설계 변수가 구조와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며, “그래서 설계안을 많이 만든 뒤 최적의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에테르의 일종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합성했다. 연구팀은 여기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촉매인 ‘인산 올-실리카 제올라이트’를 더해 결국 부타디엔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다웬하우어 교수는 “새로운 촉매를 이용해 95%의 높은 수율로 부타디엔을 합성할 수 있다”며 “고무나 타이어를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주 오래 전 인간은 태양이 떠 있는 시간에만 야외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토머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고 뒤이어 형광등이 개발되면서, 인류 ... 연구원으로 있다. 사파이어 나노멤브레인을 설계해, 고효율 편광 LED와 마이크로 LED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
- [공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어떤가요? 번개 행성을 달려볼 수 있는 곳, 제주항공우주박물관지난 2월 6일, 미국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에서는 초대형 로켓 ‘팰컨 헤비’를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어요. 이후 스페이스X 일론 머스크 대표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팰컨 헤비를 타고 우주로 날아간 마네킹 운전사 ‘스타맨’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두 개의 금줄을 등에 지닌 금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거 금개구리는 논 주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종이었지만, 경작지 감소와 개발로 인해 그 수가 많이 줄었어요. 특히 금개구리는 하루에 10m 정도밖에 이동하지 못해서 다른 개구리 종보다 서식지 감소로 인한 피해를 더 크게 입는답니다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