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좋겠지. ✚ 쇼트트랙은 짧다는 뜻의 ‘쇼트’라는 이름을 가진 것처럼 경기장 한 바퀴의
길이
가 111.12m에 불과해. 얼음 위를 빠르게 달리는 점에선 스피드스케이팅과 같지만 기록을 재는 것이 아니라 4~6명이 함께 출발해 순위를 다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무엇보다 큰 차이는 쇼트트랙에선 곡선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모양이라고 했지? 멀리 보이는 나무가 거꾸로 서 있는 것도, 몸이 비틀어지는 느낌도
길이
180°로 꼬였기 때문이야. 길을 따라 가다 보면 길 위에 거꾸로 매달려 있게 돼. 물론 당사자는 그저 평평한 땅 위에 서 있다고 느끼지만, 행성 밖 사람에겐 네가 거꾸로 매달려 있지.이 행성의 여행사에선 ... ...
셋째 날 상상하면 이뤄질까?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뫼비우스 띠처럼 만든다면 철로
길이
는 1km면 충분할 거야. 뫼비우스 롤러코스터는 1km
길이
의 철로 위를 안으로 한 바퀴, 밖으로 한 바퀴 돌아 총 2km를 달리는 효과를 내기 때문이지. 롤러코스터가 뫼비우스 띠 철로 안쪽 면에서 출발해 한 번 돌아 나오면 열차는 철로 바깥쪽에 거꾸로 서고, 거꾸로는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개의 원판에 고리가 걸려 있어. A판이 시계방향으로 돌 때, C판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4
길이
가 20cm인 띠로 180° 만큼 두번 꼰 종이를 만들었어. 이 위를 무당벌레가 기어서 처음 위치로 돌아온다면 무당벌레가 돌고 온 총 거리는 얼마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좀 더 효율적인 설계로 바꿨다. 한편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에 있는 부산의 금정터널은
길이
가 20.3km에 이르는 국내 최장 터널로 우리나라 토목기술의 우수성을 자랑하고 있다.노면전차가 50년 만에 부활하는 이유 철도의 유형을 다양화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사실상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늘어나 번식할 때까지 꾸준히 관찰하고요. 그런데 이미 멸종된 생물들은 도저히 찾을
길이
없는 건가요? ▲ 공일근 교수는 멸종 위기종인 삵의 체세포를 고양이의 난자에 넣어 이종뿐 아니라 속이 다른 동물을 복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고양이는 수정과 착상에성공, 임신 50일까지 지속됐으나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경사면을 빠르게 내려오는 경기(알파인스키)는 안전하게 내려오기 위해 폭이 넓고
길이
가 긴 스키를 사용한다. 눈 표면에 스키 날 세워 원심력 극복알파인스키의 세부 종목 중 하나인 ‘활강’은 공기 저항을 피하기 위해 무릎을 굽힌 웅크린 자세로 내려온다. 선수들의 평균 속력은 시속 90~140km.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 대서양대구는 대구와 생김새가 거의 비슷하지만 몸집이 훨씬 커서 다 자란 놈은 몸
길이
가 1.8m에 이르기도 한다. 한때 대서양대구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떼를 이루던 물고기 중 하나였다.먼 옛날 캐나다에서 미국 북동부에 걸친 대서양 바다를 항해하던 이들은 바다를 가득 메운 대서양대구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폭포로 올라가는 등반로 입구에 도착했다. 말이 좋아 등반로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길이
라 올라가기가 만만찮다. 경사도 가파른데 사키시마수오 나무처럼 뿌리를 벽처럼 세워 길을 막고 있는 기괴한 관목들을 요리조리 피해가야 한다. 폭포까지 40분 정도 올라갔을 뿐인데 입에서는 단내가 난다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일정하지 않다. 여러 개의 단위체가 중합되므로 정교하게 만들어진다 하더라도 사슬의
길이
는 다를 수밖에 없다. 분자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녹는점과 끓는점이 일정하지 않다. 둘째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한다. 셋째 열이나 전기 전도성이 없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다.그런데 최근 들어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